경기연구원 "스마트 환경관리 위해 환경자료 공유 빅데이터 구축해야"

2019-04-18 09:13
  • 글자크기 설정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첨단 기술 활용 필요

 

 


다양한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첨단 신기술들이 도입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 환경관리를 위해 환경 및 보건자료들을 공유하는 통합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8일 4차 산업혁명 환경관리의 과제를 살펴보고, 대기⋅수자원 등 8개 분야의 스마트 환경관리 전략을 제안한 ‘제4차 산업혁명과 환경 관리’ 보고서를 발표했다.
대기환경과 자연환경 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모니터링 체계를 고도화해 실시간으로 관련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대기 및 자연환경의 질을 향상시킬 것을 제안했다. 수자원 및 자원순환 분야에서는 빅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수환경 정보와 폐기물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관리할 것을 주장했다.

상하수도 분야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상수도 보급률은 99%, 하수도 보급률은 93.2%에 달하므로 상하수도 시설의 운영 및 안전관리의 첨단화 전략을 강조했다. 기후변화 및 에너지 분야에서는 기후변화와 에너지 정책 수요에 대응해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등과 연계한 에너지 신산업 모델의 개발과 확산을 제시했다.
 

[사진=경기연구원 제공]


환경행정 분야에서는 융합적 조직체계로 전환할 것을 제안했으며, 환경보건 분야에서는 개인의 환경과 건강 관련 정보를 통합한 빅데이터를 구축해 맞춤형 환경보건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주장했다.

이은환 경기연 연구위원은 “인공지능이 환자를 진단하고, 빅데이터를 통해 질병을 예측하는 등 4차 산업혁명은 인간과 기술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시대"라며 “효율적이며 융합적인 4차 산업혁명의 혁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환경관리로 깨끗한 환경과 건강한 삶을 구현할 수 있다”고 했다.

스마트 환경관리 정책 방향으로는 △공공기관 보유자료의 공유 및 통합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4차 산업혁명 중심의 전담 조직 설치 및 스마트 환경관리를 위한 융합적 행정조직 구축 △행정부처-연구기관-기업 간 연계 사업 추진 △수요자 중심 문제해결식 접근 환경 조성 등을 제안했다.

이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 환경관리를 위한 첫걸음은 환경과 보건자료 통합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이라며 “공공부문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료들을 연계해 통합적으로 공개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각 분야에서 활용함으로써 양질의 자료가 생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