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A씨는 100만 원을 연 5% 금리로 2년간 은행에 예금하려고 한다. 그가 받는 이자는 단리로 계산하면 10만 원이다. 복리로 계산하면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 정답은 10만2500원이다. 단리는 원금의 이자만을 계산하지만 복리는 이자에 대한 이자까지 계산하는 방법을 말한다. 하지만 한국은행 조사 결과 이를 정확이 이해한 사람은 100명 중 25명에 불과했다. 그만큼 어렵게 느껴졌다는 얘기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우리나라 성인(만 18~79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100점 만점 중 62.2점으로 경제협력기구(OECD) 평균(2015년, 64.9점)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금융행위와 금융태도 부문이 취약하다는 점이다. 금융지식이 65.7점인 반면, 금융행위(59.9점)와 금융태도(61.3점)는 모두 OECD 평균(61.3점, 65.6점)을 밑돌았다. 금융행위는 금융상품 선택 등 금융과 관련한 소비자의 행위다. 금융태도는 소비와 저축, 현재와 미래, 돈의 존재가치 등에 대한 선호도다. 즉 금융행위를 통한 자산증식보다는 소비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는 얘기다.
저소득층과 노년층을 비롯한 취약계층의 금융이해력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별로는 월소득 250만원(연 3000만원) 미만인 계층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58.0점으로 월소득 420만원(연 5000만원) 이상인 계층의 65.6점에 비해 크게 낮았다.
연령대별로는 60~70대 노년층의 금융이해력 점수가 각각 59.6점, 54.2점으로 전체 평균(62.2점)을 밑돌았다.
20대 청년들이 바라보는 금융은 다소 부정적으로 나왔다. 청년층(20대)의 금융행위 및 금융태도는 각각 58.4점, 57.7점으로 전체 평균(각각 59.9점, 61.3점)을 밑돌았다.
노년층(60~70대)의 금융지식은 각각 61.6점, 50.2점으로 전체 평균(65.7점)보다 낮고 금융행위도 각각 56.0점, 52.3점으로 전체 평균(59.9점)을 하회했다.
한은은 "저소득층 및 노년층 등 취약계층의 금융이해력이 낮으므로 이들에 대한 경제·금융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며 "대학생과 사회초년생 등 청년층의 현재 및 소비 중시 경향, 돈에 대한 인식 등에 비추어 이들의 올바른 금융가치관 형성을 위한 학교 등 현장에서의 경제·금융교육도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