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저작권 위반물 2년 동안 26만건 “네이버·다음의 66배”

2018-10-25 18:26
  • 글자크기 설정

- 유튜브, 해외 플랫폼으로 국내 당국의 손길 미치기 어렵기 때문으로 보여

[사진=유튜브]


유튜브에서 방송저작권을 위반한 동영상 게시물이 급증하면서 지난해 이후 26만건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네이버와 다음 등 국내 주요 플랫폼의 방송저작권 위반 게시물의 66배에 이른다.
2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위원장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KBS, MBC, SBS 등 지상파 3사가 지난해 이후 유튜브에 저작권 위반과 관련해 시정을 요구한 사례는 모두 26만1042건에 이른다.

지상파 3사가 지난해 이후 국내 주류 동영상 플랫폼인 네이버, 다음, 아프리카TV에 시정 요구한 사례인 3979건의 66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방송사별로 보면 KBS가 지난해 이후 올해 9월 말까지 유튜브에 저작권침해 단속신고를 통해 12만6570건의 게시물을 지웠다. 이는 네이버와 다음 게시물 삭제 건수 658건과 비교해 192배 많은 것이다.

아프리카TV에서는 2016년 3건 이후 저작권침해 사례가 발견되지 않았다.

MBC가 작년 이후 올해 6월 말까지 삭제한 유튜브 내 저작권 위반 게시물은 5만3387건으로, 네이버, 다음 내 저작권 위반 게시물 512건의 104배였다.

SBS는 지난해부터 올해 9월 말까지 모니터링을 통해 유튜브 게시물 8만1085건을 단속했으며 3개 국내 플랫폼에서는 29분의 1 수준인 2809건을 단속했다.

유튜브 안에서 게시물 시정요구 건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은 이용자들이 저작권 위반 게시물을 거리낌 없이 올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유튜브처럼 해외 플랫폼의 경우 국내 당국의 손길이 미치기 어렵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