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 부동산 대책 한달] 전문가 "내년 상반기 까지 관망세"…강화된 대출·세제 규제가 투기 차단

2018-10-14 14:56
  • 글자크기 설정

한동안 거래량 감소 뚜렷, 매매가격도 보합세 전망

(왼쪽부터)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양지영 R&C 연구소장,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 

전문가들은 9·13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잠잠해진 서울 부동산 시장의 관망세가 연말에 이어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9·13 대책으로 강화된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투기 목적의 가수요를 차단했고 주택 보유에 대한 세금 부담을 키우면서 대기수요를 막았다는 설명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정부의 강력한 수요억제책으로 인해 매도, 매수자의 시장 관망세가 깊어 한동안 거래량 감소가 뚜렷하고 수도권지역 매매가격도 보합세가 전망된다"면서 "이런 흐름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대출 및 과세 강화로 똘똘한 한 채 쏠림에 따른 시장 양극화가 지속되고 분양시장에 대한 선호현상이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지영 R&C 연구소장은 "최근 집값 급등이 진정되는 모습인데 추가적으로 나올 공급계획들이 속도를 내면 이런 진정세가 당분간 이어질 거라고 본다"면서 "큰 변수가 나타나지 않으면 이런 추세가 내년 상반기까지도 갈 것"이라고 말했다.

강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는 서울 아파트 값이 내달 말께 지수상 하락세로 반전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가격은 크게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거래만 줄어드는 상황이 연말까지 이어질 것"이라면서 "정책흐름에 민감함 사람들은 시장에서 빠질 것이다. 11월쯤 되면 지수상 마이너스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연이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미 간 금리 격차가 커지면서 내달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국내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5%대를 넘고 있다. 국내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을 끼고 집을 산 사람들의 부담이 커지게 된다. 대출 규제가 강화된 상황에서 금리가 인상되면 부동산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은 불가피해 보이지만 이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도 분분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올라가기 때문에 기존 대출자들이 자금상환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면서 "신규 주택시장 진입을 희망하는 수요자들 역시 망설이게 되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이는 곧 주택시장의 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은 "당장 금리가 오른다고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주진 않지만 금리가 오른다는 시그널을 줬고 그 금리인상이 누적되면서 1% 포인트 근접해서 올랐을 때 주택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기존에 대출받은 사람들은 문제겠지만 매물이 쏟아져 나오진 않을 것"이라면서 "그동안 버티면 상황이 바뀌는 경험을 해왔기 때문에 이번에도 상당수 버틸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와 함께 이번달로 예정된 9·13 부동산 대책 국회 통과 여부와 정부의 신규 주택 공급 추가대책이 연말 부동산 시장의 변수로 작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수도권 2기 신도시와 앞으로 입지를 발표할 3기 신도시에 대한 교통개선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밝히며 공급 대책 실효성에 가능성을 더했다.

김덕례 실장은 "종부세 강화, 대출 규제강화 내용이 포함된 9·13 대책이 발표된 이후 주택 시장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다. 실질적으로 정책 변수가 작동하기 시작하면서 정책 요인들이 시장상황을 개입하고 있다"면서 "국회를 통과했느냐 여부는 크게 의미가 없다"고 밝혔다.

함영진 랩장은 정부의 후속 교통대책 마련방침과 관련, "업무지구 등 자족기능과 교통망 확충에 따른 서울도심과 물리적 거리 단축은 수요유발과 신도시 조성 안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실제, 신분당선과 판교테크노밸리 조성 등 교통과 자족기능(직주근접)이 풍부한 판교는 수도권 2기 신도시의 가장 모범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다"고 피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