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방의학회 등 전문가 단체가 최근 메르스 사건과 관련해 검역체계를 고도화 하고, 입국 후 감시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대한예방의학회와 대한감염학회, 한국역학회, 대한항균요법학회는 12일 공동 성명서를 제출하고, 검역체계의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먼저 1차 검역 시스템뿐 아니라 입국 후 감시체계 강화가 필요하다며, 검역체계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입국 후 전국 어디서라도 해외 유입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한 지역 감시체계와 함께 신속대처, 안전이송, 격리검진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해 기준 국내 입국자는 약 4400만명에 달하고 있지만 검역원은 340명으로, 모두 걸러내기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한 사람이 제출하는 건강상태 질문서를 강화해 외국거주 방문객의 경우 건강질문서에 본국의 상시 연락처를 추가하도록 해 어떤 위급 상항이라도 신속히 연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 관련 감염 예방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시스템 보완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메르스 환자를 처음 진료했던 삼성서울병원은 2015년 메르스 확산을 경험하고 선진적인 응급실 내 진료환경을 구축했다. 메르스 의심 환자를 선별 격리실로 이동 조치해 의료기관 내 메르스 노출자를 최소화했다.
대예의는 “그러나 이러한 병원 내 감염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병원이 많지 않다”며 “이버 사건을 계기로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민의 적극적인 지지와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도 당부했다. 2015년 메르스 유행 시에는 전체 186명의 확진자 중 22명이 감염을 전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5명은 150명에게 감염을 전파하는 슈퍼전파양상을 보였다.
이들 5명은 모두 폐렴 진단을 받았으나 격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여러 병원을 전전하는 등 다수와 접촉했다.
이에 따라 의심환자가 발생하거나 본인이 메르스로 의심되는 경우 바로 의료기관으로 가지 말고 반드시 1339 또는 보건소로 연락해 초기 이동단계부터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감염병 우려가 있는 현지에서 환자를 도와 줄 보건의료전문가를 파견해 선제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