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빅3도 앞날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최근 이어진 선박 수주로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는 것은 사실이지만 해양플랜트 일감을 확보하지 못하면 회사의 존폐가 흔들릴 수밖에 없는 구조다.
◆ 해양플랜트 수주 없인 정상화 어려워
현대중공업이 해양플랜트를 수주한 것은 지난 2014년 11월 아랍에미리트(UAE)의 나스르 원유생산설비가 마지막이다. 그 이후 4년째 아직 신규 수주가 없다.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도 마찬가지다. 지금 일감을 마련하지 못하면 2~3년 내로 일감고갈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1월과 6월 두 건의 해양플랜트를 수주했지만 1년간 수주를 하지 못하고 있다. 대우조선 역시 2014년 원유 생산 설비를 따낸 이후 아직 해양플랜트 수주가 없다.
더욱 큰 문제는 유가가 차츰 오르며 해양플랜트 발주가 하나 둘 재개되는 상황임에도 국내 조선소의 해양플랜트 수주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것이다. 최근 진행 중인 로즈뱅크 프로젝트에 국내 조선 빅3가 모두 입찰했지만 최종 후보자에는 대우조선과 싱가포르의 셈코프마린만이 남았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가격경쟁력에서 밀린 것으로 파악된다.
해양플랜트 일감고갈로 누구보다도 이번 수주가 절실했던 현대중공업은 적잖은 충격에 휩싸였다. 현대중공업 측은 “원가를 고려하지 않고 최대한 가격을 낮춰 입찰에 참여했는데도 최종 후보에도 가지 못했다”며 “망연자실이란 말밖에는 달리 할 말이 없다”고 말했다.
셈코프마린은 지난해에도 우리나라 조선3사에게 큰 충격을 안겨준 바 있다. 수주가 유력하다고 생각했던 요한 카스터버그 FPSO(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와 비토 FPU(부유식 해양생산설비) 등을 이 회사에 모두 빼앗겼다. 올해 초 발주된 토르투 프로젝트는 중국·프랑스 컨소시엄에 내줬다.
◆ 결국은 인건비… 당장만 버티면 기회 온다
일각에선 적자를 보더라도 일단 수주를 하는 게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대규모 고용 대란으로 발생할 사회적 비용을 감안했을 때 적자를 감수하고 수주해 일감을 마련하고 정부가 회사에 비용을 지원해주는 게 낫다는 것. 그러나 2015년 이른바 ‘해양플랜트 쇼크’를 겪은 우리 정부와 조선소가 이 같은 결정을 내리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업계에서는 원가 경쟁력 부분에서의 해법이 마련되지 않는 한 해양플랜트 주도권을 싱가포르와 중국 등에 내줄 수밖에 없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결국 원가 차이는 인건비에서 나올 수밖에 없다. 중국은 우리나라보다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고, 싱가포르의 경우 적극적인 외국인 근로자 고용을 통해 조선소 인력을 운용하고 있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 등이 근로자에게 임금 삭감을 호소할 수밖에 없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위기를 넘어선다면 해양플랜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홍성인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셈코프마린은 아직 검증된 조선소가 아니며 이 회사의 도크가 상당히 찼기 때문에 이후 발주되는 물량은 우리나라가 수주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노사가 힘을 합쳐 1~2년의 시간만 버텨낸다면 해양플랜트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