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3t에 달하는 북한 산림복구용 종자를 확보했다. 이는 여의도 면적(290ha)의 69배에 달하는 2만ha 규모의 산림을 복구할 수 있는 분량이다.
산림청은 이달 4일 남북 산림협력 분과회담 개최 이후, 북한 산림생태계 복구를 위한 지원태세를 마련하고 있다.
대북지원용 양묘장은 현재 △강원 고성 양묘장 △화천 미래숲 양묘센터 △철원 통일양묘장 등에서 운영되고 있다.
한반도 산림조성‧보호를 위한 남북 협력사업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양묘장 현대화와 임농복합경영 등 북한이 자체적으로 산림복구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산림병해충‧산불·산사태 등 산림재해는 공동대응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북한의 산림복구가 원활하게 진행되면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백두대간의 산림자원을 활용, 관광과 산림보호를 병행하는 협력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산림청은 백두대간 산림자원을 활용한 산림이용 인프라 구축 협력을 위해 복합형 산림휴양시설(숲길‧휴양림 등) 조성과 생태관광 운영‧관리 기술을 공유할 계획이다.
유관기관은 물론 국제기구나 NGO와의 연계도 강화한다. 산림청은 식량‧에너지 등과 연계한 산림복구 지원을 위한 유관기관 협력을 높일 방침이다.
우선 통일부와 함께 남북 산림협력사업 시 신경제지도 구상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종자 채취, 양묘장 조성, 북한산림 모니터링, 산림재해 공동대응 등이 대표적이다.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 및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등과 협력해 북한의 산림복구 역량을 끌어올린다.
△남북 산림협력 자문위원회 운영 △산림용어사전 공동발간 △기술 공유 등 민·관 협력을 확대하고, 남북이 지속적인 산림과학기술 교류를 추진하기로 했다.
남북 산림협력은 4‧27 판문점선언 후속조치 논의를 위해 지난 5월 3일 ‘판문점 선언 이행추진위원회’가 가동되고, 산림분야 협력이 첫 사업으로 정해지면서 본격화됐다.
남북 협력의 첫 사업인 만큼, 북한의 산림 녹화‧복구 지원은 남북관계 개선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북한 산림은 899만ha 중 32%인 284만ha가 황폐화된 것으로 파악된다. 주요 원인은 대규모 벌채와 산지개간(화전), 산림 병해충 등이 꼽힌다.
이에 산림복구는 현재 북한이 가장 필요로 하는 분야다. 우리나라는 한국전쟁 이후 황폐화된 산림을 성공적으로 복구한 경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