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동물원에 '호기심만 있고 안전은 없었다!'

2018-06-26 12:00
  • 글자크기 설정
사육장 밖에서 아이들과 직접 접촉하는 일본원숭이들을 볼 수 있다.

[노트펫] 주변에서 접하기 힘든 야생동물을 직접 보고 만질 수 있어 인기인 동물체험시설의 관리가 허술해, 사람과 동물 모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는 25일 서울 중구 레이첼카슨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동물체험시설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어웨어는 현행 전시형태가 동물복지 위해(危害), 인수공통감염병 전파, 생태계 교란 등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사육장 없이 통로에 전시된 이구아나. 관람객의 손길을 피할 수 없다.

어웨어는 올해 3월 1일부터 6월 16일까지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이 가능한 동물체험시설 중 20개 업체를 선정해 조사했다. 지난 16일 기준 조사대상 20개 업체 중 16개 업체가 동물원으로 등록을 완료했다. 대상 중 3개 업체는 등록을 진행 중이며, 1개 업체는 미등록 상태였다.

조사 결과 대부분 업체가 안전울타리를 설치하지 않았다. 전시 중인 동물들이 관람객 옆을 자유롭게 오가도록 방치한 것이다. 안전울타리를 설치한 2곳도 부분적으로 설치해, 시설 전체에 울타리를 치지 않았다. 게다가 울타리 높이가 낮아, 관람객이 손을 뻗으면 동물을 쉽게 만질 수 있었다.

분리가 허술한 왈라비 사육장. 동물들이 자유롭게 관람객 사이를 돌아녔다.

13개 업체는 별도의 사육공간 없이 동물을 사육했다. 설령 사육장이 있더라도 동물을 외부로 옮겨 전시하거나, 사육장 안에 관람객 출입이 가능한 상태로 무경계·근거리 전시를 진행했다. 사육장 밖에서 전시되는 동물은 알락꼬리 여우원숭이, 카피바라 등 포유류부터 설가타 육지거북, 비단뱀 등 파충류까지 다양했다.

15개 업체는 사육사가 사육장 외부로 동물을 꺼내 관람객과 동물의 접촉을 유도하는 형태로 운영했다. 이 중에는 일본원숭이, 사막여우, 청금강앵무, 사바나모니터, 그린이구아나 등 국제적 멸종위기종도 포함돼 있었다.

특히 모든 업체가 대부분 동물에게 은신처를 제공하지 않았다. 관람객이 접근하는 건 쉽지만, 많은 동물이 관람객의 손길을 피할 수 없는 구조다. 심한 곳은 전시 중인 65종 동물 가운데 킨카주, 페럿 단 2종에 한해서만 은신처를 제공했다.

고양이와 페럿이 새장에서 사육됐다.

9개 업체는 바닥이 평면에 닿지 않는 철망 구조로 된 사육장, 일명 뜬장과 새장에 동물을 전시했다. 뜬장에 전시되는 동물은 일본원숭이, 사막여우, 코아티, 돼지, 고양이, 토끼, 닭 등이었으며 프레리독, 미어캣 등 야생동물과 고양이를 새장이나 소동물 케이지에 전시하는 경우도 있었다.

산양, 미니돼지, 토끼, 닭, 육지거북이 등을 좁은 사육장에서 함께 사육했다.
물그릇을 놓고 동물들이 경쟁행동을 한 것이 관찰됐다.

아울러 2종 이상의 야생동물을 합사하거나 사회적 동물을 단독으로 사육하는 경우도 있었다. 많게는 6종의 동물이 같은 사육장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특히 단순한 재미를 위해 종이 다른 동물끼리 접촉하도록 유도하는 경우도 관찰돼 우려를 안겼다.

동물을 사육장에서 꺼내 만지고 먹이를 주는 체험 프로그램.
어린이가 일본원숭이의 손을 입에 가져가서, 입을 맞췄다.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식도 안전불감증을 뚜렷하게 드러냈다.

관람객이 일본원숭이의 손, 비단뱀의 꼬리 등 동물 신체부위 일부를 입에 가져가거나 입을 맞췄다. 특히 동물을 만진 손을 씻지 않은 채 관람객의 입으로 가져가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이런 행동은 사육사나 관리인원의 유무에 관계 없이 이뤄졌다.

어웨어는 이런 행동으로 인해 동물의 체액, 몸에 뭍은 분변 등이 사람의 입으로 섭취돼 질병 감염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체험에 자주 사용되는 동물이 전파할 수 있는 인수공통감염병은 폐렴, 피부염, 광견병 등 바이러스성 질병 20종에 패혈증, 백선증 등 곰팡이성 질병 7종이 있다.

‘당근을 주지마세요’, ‘밀웜만 주세요’라는 표지판이 있지만 당근을 주는 관람객.

어웨어는 먹이의 종류, 양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먹이를 주면 안 되는 동물 안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또 종에 맞는 먹이 안내도 부족했다. 먹이를 주지 말라거나 먹이 종류 구분에 대한 안내문이 부착돼 있는 경우에도 관람객들은 안내를 따르지 않았고, 관리인원은 이를 제지하지 못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 업체에서 전시되는 동물들은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았다. 전시 중인 동물 중 반복행동, 무기력증, 외상 및 질병의심 증상을 모두 보이는 업체가 10곳으로 조사대상의 절반에 달했다. 또 3가지 중 2가지 문제를 안고 있는 업체는 9곳이고, 1가지 문제만 발생한 업체는 1곳에 불과했다. 모든 동물이 이상행동을 보이지 않는 업체는 20곳 중 단 한 곳도 없었다.

철창을 물어뜯는 행동을 보인 프레리독.

특히 17개 업체에서 사육장 안에서 일정 거리를 반복적으로 왔다갔다 하는 행동, 같은 지점에서 원을 그리며 도는 행동, 우리를 물어뜯는 행동 등 정형행동을 심하게 보이는 동물들이 관찰됐다.

동물을 판매하고 있는 업체도 10곳에 달했다. 이 중 2곳은 홍보 목적으로 일반인에게 동물을 무료 입양시킨 사실이 확인됐다.

판매 중인 6주령의 라쿤. 개인이 기르다가 유기·방사할 시 생태계 교란의 위험이 있다.

판매하는 동물은 개, 고양이, 라쿤, 미어캣, 설치류, 양서류, 파충류 등이었다. 일반인이 가정에서 야생동물을 사육할 경우 적절하지 않은 사육환경과 영양공급으로 동물이 고통 받을 수 있다고 어웨어는 지적했다.

동물을 입양한 뒤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무단 유기 및 방사할 경우 생태계 교란의 위험도 있다.

이에 어웨어는 동물체험시설 관리 방안으로 △동물원 등록제에서 허가제로 전환, △동물 종별 적정한 사육환경 및 관리 제공 의무화, △관람객과 직접 접촉 규제 방안 마련, △금지행위 조항 강화, △사육동물 질병 관리 및 기록 제출 의무화, △동물원에서 동물판매 규제, △야생동물 거래  규제 및 개인 소유 제한 방안 마련 등 7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이형주 어웨어 대표는 "문제점이 드러난 업체 대부분이 '동물원 및 수족관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동물원 등록이 완료된 시설인데도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더보기
'아이들은 좋아한다지만..' 어린이집 동물체험활동 자제령
"실험동물 안락사 막아주세요" 서명운동
백주대낮 개소주집에 질질 끌려가는 누렁이


장우호 기자 juho1206@inbnet.co.kr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otepet@inbnet.co.kr / 저작권자 ⓒ노트펫,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