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초대석] 김성준 렌딧 대표 "빅데이터로 이자 93억 줄였죠"

2018-06-25 19:00
  • 글자크기 설정

김성준 렌딧 대표[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국내 P2P업체 가운데 부동산을 취급하지 않는 곳은 렌딧이 유일하다. 대신 신용대출에 집중하고 있다. 이유는 명확하다. 신용정보가 부족하거나 획일적인 신용평가로 인해 대출자들이 고금리로 내몰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중금리대출 이끈다··· "이자 절감 규모만 100억 육박"
렌딧이 개인신용대출만 취급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김성준 렌딧 대표는 25일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테크핀 기업으로서 100% 온라인 비대면 서비스가 가능한 분야"라며 "오프라인에서 대출 심사가 필요한 부동산이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다른 점"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P2P 개인신용대출은 은행·저축은행 등 금융사를 통할 필요가 없다. 온라인에서 대출자와 투자자를 연결하기 때문이다. 먼저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에겐 금융 및 비금융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적정금리를 산출해준다. 투자자는 이렇게 집행된 대출채권에 투자해 중위험·중수익의 투자 수익을 얻게 된다.

렌딧은 중금리 대출상품을 주로 취급한다. 은행으로 대표되는 1금융권과 저축은행·상호금융 등 2금융권의 개인신용대출 사이에 렌딧의 중금리 상품이 자리하고 있다. 금리가 최저 4.5%, 평균 10% 초반이다.

김 대표는 "렌딧 대출고객의 절반 이상은 기존에 보유한 고금리 대출을 갈아타는 대환대출"이라며 "지난 3년간 렌딧의 대출자들이 중금리 P2P 대출을 받아 절약한 이자가 총 93억7000만원"이라고 설명했다.

시장 규모도 막대하다. 2016년 잔액 기준으로 개인신용대출 규모는 약 260조원에 달한다. 미국(900조원)의 4분의1이 넘는다. 그는 "양국의 국내총생산(GDP) 차이를 생각해 보면 국내 개인신용대출 시장 규모가 엄청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일각에선 P2P금융의 수익 창출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는 "260조원의 개인신용대출 시장에서 1% 정도의 점유율만 가져도 잔액 기준 2조원 이상 이익이 난다"며 "현재는 이 같은 전략에 집중해 규모의 경제를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경우 개인신용대출에서 P2P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이 4% 수준이다. 10년 만에 이룬 성과다. 초반부터 성과가 좋은 것은 아니었다. 2011년 무렵 은행·카드사·연기금 등 금융기관이 대출 채권에 투자를 시작하면서 판이 커졌다.  

김 대표는 "미국· 영국 등 금융 선진국에서 발전해온 모습을 고려해 볼 때 한국도 비슷한 과정으로 금융 기관들이 P2P금융의 대출채권에 투자를 하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여러 금융기관이 보유한 전문적인 리스크 관리팀이 해당 P2P금융사의 대출채권 운영 방식을 검토한 후 투자를 결정한다"며 "이 같은 P2P금융과 기존 금융의 협력 및 견제를 통해 중금리 대출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렌딧은 장기적으로 다양한 자산을 다루는 금융회사로 발전해 나갈 계획이다. 그럼에도 당분간은 개인신용대출에 집중할 계획이다. 개인신용대출 분야만 해도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가 많다는 판단에서다. 
 
신용평가시스템(CSS)도 꾸준히 개선할 방침이다. 신용을 평가할 때 신용정보뿐 아니라 부동산, 통신, 소비활동 데이터 등의 대안정보를 CSS에 반영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또 금융분야에서 빅데이터 활용이 활성화되고 있는 만큼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을 시도해 CSS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규제 손질 급선무··· P2P금융 본질 이해 필요"

최근 P2P업계가 시끄럽다. 이승행 초대 한국P2P협회장의 학력 위조부터 사기 대출, 파산 등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렌딧은 P2P협회에서 탈퇴해 지난 5월 29일 팝펀딩·8퍼센트 등과 함께 자율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준비위원회를 발족했다.

김 대표는 "취급하는 대출자산에 따라 자율규제의 세부적인 내용의 방향성이 다를 것으로 본다"며 "소비자를 보호하고 산업을 건전하게 발전시켜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새로운 금융산업에 대해 업계와 소비자 모두 크게 환기하고 학습하게 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면서 "업계는 자율규제를 강화하고 자정작용을 통해 빠르게 고객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율 규제안은 올해 3분기 내에 확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 대표는 아울러 "해외 P2P금융산업의 자율규제 사항이나 국내 다른 금융권들의 위험자산 규제 등에 대해 조사하고, 여러 사항들에 대해 법률적인 검토 등을 하며 정리 중"이라며 "자율규제에 대해 세부적인 내용을 정리하는 데는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 규제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았다. 그는 "소비자 보호를 위해서는 P2P금융산업의 본질에 대해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며 "강하게 규제할 부분은 규제하고 산업 발전을 위해 풀어햐 할 부분은 풀어줄 수 있는 식으로 방향성을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출 자산의 건전성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도 했다. 금융업권마다 BIS자기자본비율, 순자본비율(NCR), 주택담보인정비율(LTV) 등의 건전성 규제가 존재한다. P2P금융산업 역시 자산의 위험도별로 차등화된 규제가 도입돼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반대로 산업 발전을 위해 규제를 완화해야 할 부분도 있다. 바로 P2P금융기업의 자기자본대출에 대한 규제다. 김 대표는 "P2P금융은 여신과 중개가 융합된 새로운 형태의 금융산업"이라며 "그러나 현재 금융위원회의 P2P 가이드라인에서는 P2P금융을 단순히 중개로만 해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투자금이 모두 모집된 후에야 대출금을 지급할 수 있다. 조사에 따르면 P2P금융을 통해 대출을 신청한 사람의 약 90%가 신청일로부터 3일 내에 대출금을 지급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대출금 모집 기간을 기다리지 못한 대출자들은 고금리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P2P금융사의 부분적 후순위 자기자금 투자를 허용해 대출자의 대기시간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대표는 P2P금융산업의 본질이 기술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용평가 모델 고도화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규제와 입법 논의에 있어 산업 본질에 대한 이해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며 "P2P금융을 '개인 간 대출'로 해석하는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P2P금융산업이 자금모집 주체로 한정돼 있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