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빗장이 풀리자 남북경제협력 관련 기업들이 꿈틀거린다. 철도와 도로 연결은 물론 전력, 가스관, 지뢰제거까지 다방면 분야로 확산됐다.
1. 건설사
삼성물산, GS건설, 대림산업 등도 남북경협 TF를 꾸리고 대북산업 확장을 준비 중이다.
별다른 움직임이 없는 건 현대건설이다. 하지만, 현대건설은 지난 1998년을 시작으로 북한 경수로 건설, 금강산 관광지구 조성, 개성공단 변전소 건설까지 대북산업의 중심에 있었다. 여기에 현대아산과 현대그룹의 소유한 대북사업 독점권까지 있다. 지난 2011년 북한은 금강산 관광·개발 사업 독점 사업권을 몰수한 '금강산국제관광특구법'을 만들었지만, 현대아산 측은 독점권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8월 15일 광복절 전후로 거론되는 이산가족 상봉이 실현된다면 현대아산과 북한의 독점권 재협상 가능성도 커졌다.
김승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북미 정상회담 이후 대북 경협주 재부각 여부도 관심이다. 대표적인 업종이 건설인데 냉정하게 숫자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라며 "건설업종 현재 주가순자산비율(PBR)은 과거 12개월 기준 1.2배, 12개월 선행 기준 1.0배로 기존 0.8배, 0.7배 수준에서 단기간에 상승했다. 그러나 여전히 2010년 이후 평균치인 1.2배를 소폭 밑돌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빅배스와 규제 등으로 투자심리가 악화하면서 낮아진 평가가치가 이제 정상화됐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2. 에너지·철강·가스
황 연구원은 "북한의 발전설비는 수력(4.5GW)과 화력(3.0GW)으로 구성돼 있는데 설비가 낡고 강우량이 불규칙해 가동률이 30% 수준에 머물러 있다"라며 "북한의 1인당 소득이 10배로 성장한다면 발전 설비용량은 48GW로, 송전선로는 2만7000㎞까지 확대돼 60조원 투자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황 연구원은 LNG(액화천연가스) 발전소 건설로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한국전력과 노후 발전소의 개보수 매출이 기대되는 한전KPS 등을 수혜기업으로 전망했다.
또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4·27 판문점 선언 이후 "러시아의 철도와 가스·전력 등이 한반도를 거쳐 시베리아로 연결될 경우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화답하자 동양철관, 하이스틸, 세아제강 등의 철강기업의 주가도 상승했다. 황 연구원은 러시아의 천연가스 도입 시 배관 1천km를 건설할 수 있는 한국가스공사를 수혜기업으로 지목했다.
3. 철도
지난 2008년까지 경의선을 이용해 도라산에서 판문역까지 정기화물열차를 운행한 경험이 있다. 코레일 측은 약 2000억원 비용으로 평양에서 신의주 구간을 저속으로 운행하는 개량사업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남북이 연결 가능한 노선은 경원선, 금강산선, 동해북부선에 경의선을 포함해 4개 노선이다.
이 중 경원선과 동해북부선이 큰 관심을 얻었다. 서울 용산에서 북한 원산을 잇는 경원선은 복원 구간이 짧아 남북경협을 빨리 진행할 수 있다. 정부는 이미 경원선의 용지매입과 설계 등을 거의 완료했다.
동해북부선은 복원 구간이 110㎞를 넘는다. 필요한 자금도 2조원 가량이 필요해 당장 착수하기는 어렵지만, 유라시아 대륙 철도 연결의 핵심노선이다.
4. 지뢰제거
서희건설은 한국지뢰제거연구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국내외 지뢰조사·탐지·제거에 참여하기로 했다. 한국지뢰제거연구소는 경의선철도 및 남북도로연결 사업 등에서 지뢰를 제거한 경험이 있는 국내 유일 지뢰제거 전문 연구 단체다.
웰크론은 지뢰제거용 EOD 방호복 등을 생산하는 방산업체다. 지뢰제거나 폭발물 제거 시 방호복 착용은 필수다. 웰크론은 자사 방호복은 'DMZ 불모지 작업 인원에게 직접적인 지뢰 폭발 시 파편 및 폭풍으로부터 보호를 위해 착용하는 안전 장구'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