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주거래은행은 시중은행의 몫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인터넷은행, 저축은행 등이 그 자리를 노리고 있다. 디지털금융 확대로 온라인상에서 웬만한 금융업무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면서 촘촘한 은행의 영업지점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사회 초년생을 미래의 잠재 고객으로 판단, 대학 내 지점 개설에 공을 들이고 있다. 또 회사 급여를 해당 은행으로 이체해주는 기업영업에도 적극적이다.
주거래은행 유치는 시중은행에만 그치지 않는다. 인터넷은행인 케이뱅크는 '주거래우대 자유적금'을 출시했다. 50만원 이상의 급여를 적금에 이체하면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월급·급여·수당·보너스 등 급여임을 알 수 있는 단어나 직장명이 입금 적요에 포함돼야 한다.
케이뱅크는 아직 기관영업을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기업과 직접적인 금융거래는 불가능하다. 대신 금융상품에 우대금리를 주는 방식으로 유도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권에서는 웰컴저축은행이 '24시간 잠들지 않는 서민들의 주거래은행'을 목표로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뱅킹과 생활서비스를 결합한 '리테일 풀 뱅킹(Retail Full Banking)'을 통해 생활형 주거래 은행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김대웅 웰컴저축은행 대표는 "중·저신용자나 중소자영업자에게도 디지털 금융의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새로운 메기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주고객이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는 금융소외계층임을 감안한 목표다.
이처럼 인터넷은행과 저축은행이 주거래은행에 출사표를 던지는 것은 금융 환경이 변했기 때문이다. 과거엔 반드시 지점에 가야 금융 업무를 볼 수 있었다. 은행은 곳곳에 영업지점이 위치한 덕에 뛰어난 접근성을 무기로 주거래은행을 독식해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모바일·PC 등에서 금융업무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면서 은행을 제외한 지방은행, 인터넷은행, 저축은행 등도 은행과 동등한 입장이 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이 디지털화 되면서 지점에 얽매이는 영업은 의미가 없어지면서 은행들은 지점을 꾸준히 줄이고 있다"며 "주거래은행 유치 경쟁이 시중은행들만의 싸움인 시대는 지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