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20대(20∼29세) 실업자의 평균 구직기간은 전년(3.0개월)보다 0.1개월 늘어난 3.1개월이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가장 길다.
2002년 3.0개월을 기록한 바 있지만, 이후 20대의 구직기간은 3개월을 밑돌았다.
그러나 2016년 제조업 구조조정 등 영향으로 평균 구직기간이 14년 만에 3.0개월로 올라섰고, 1년 만에 다시 최장 기록을 경신했다.
다른 연령대 실업자의 평균 구직기간은 15∼19세 2.1개월, 30대 3.3개월, 40대 3.3개월, 50대 3.0개월, 60세 이상 2.7개월이다.
우리나라는 일자리를 잃은 일용직‧임시직이 영세 자영업에 뛰어들거나 취업을 포기해 비경제활동인구로 편입되는 경우가 많아 선진국에 비해 통계상 실업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지 않다.
실제 일용직·임시직과 자영업자의 증감 추이를 보면 서로 증감을 반복하는 모습이 관측된다. 상용직 고용 상황은 경기 상황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경직적인 편이다. 한국의 노동시장이 이분화됐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구직기간이 짧음에도 20대 구직기간이 최장 기록을 세운 것은 그만큼 청년 고용 상황이 악화됐다는 의미다.
통계청 관계자는 “구직기간이 길어진 것은 지난해 상황이 좋지 않았던 청년 고용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