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한국과학기술원(KIST)에서는 과학기술기반 미세먼지 저감 R&D와 관련해 국민 소통의 장이 마련됐다.
이날 배귀남 미세먼지범부처사업단장은 "현재 미세먼지사업단에서는 현상 규명 및 예측, 미세먼지 배출저감, 국민생활보호 등 3가지로 나눠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이렇게 과학과 정책, 기술이 함께 미세먼지 문제 해결해 나가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동북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는 기존 런던 스모그, 경유차 등에서 발생하는 LA 광화학 스모그와 달리 생성원인과 반응과정이 규명되지 않은 상황.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는 새 정부의 핵심 과제인 미세먼지 걱정 없는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을 위해 '미세먼지 종합대책'의 과학적 기반 강화의 일환으로 미세먼지 범부처 프로젝트를 추진, 실제 대기환경과 보다 가까운 조건 하에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19년까지 27㎥ 이상의 중형급 스모그 챔버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날 미세먼지를 접하고 있는 국민 대표들로부터 걱정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두 아이를 키우고 있다는 주부 공경남 씨는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미세먼지는 신경쓰지 않을 수 없는 요소"라며 "주위에 그림자처럼 있었던 것인데 이제서야 인식되고 있는 문제가 된 것 같다"고 우려했다.
유치원을 운영하고 있는 위숙현 씨는 "1월에는 한파에 미세먼지로 아이들의 야외 활동이 어려웠다"며 "나이에 따라 미세먼지 허용 기준을 명확히 마련해줘야 할 것 같다"고 제안했다.
전문가들의 제언도 이어졌다. 홍윤철 서울대 교수는 "전세계적으로 미세먼지 허용 기준은 10mg(마이크로그램)으로 적고 건강에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하지만 그 기준을 잡은게 거의 20년 전"이라며 "지금은 6.5mg 수준으로 내려가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민수 미세먼지해결시민본부 대표는 "애초에 미세먼지는 배출 안되도록 막아야 한다"면서 "어떠한 물질이 얼마만큼 배출됐을 때 인체에 안전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출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차관은 “국민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세먼지는 연구개발을 통한 근본적 문제해결이 필요한 영역으로, 연구개발 과정에서 국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솔루션을 도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