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1년 한 일간지에 연재된 소설 '삼대'는 식민지 현실에서 가족 간에 벌어지는 세대갈등을 다룬 염상섭(1897~1963)의 대표작이다. 삼대는 서울의 한 중산층 집안에서 벌어지는 재산 싸움을 중심으로 1930년대 다양한 이념의 상호관계와 더불어 유교사회에서 자본주의사회로 변모하고 있는 당대를 생생하게 그려내 문단과 대중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작품은 신문 연재 이후 곧바로 단행본으로 출간될 계획이었으나 조선총독부의 검열로 실현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결국 해방 후였던 1947~1948년 을유문화사에서 상·하권 두 권으로 나뉘어 출간됐다.
국립중앙도서관(관장 박주환)은 내년 2월 25일까지 본관 1층 전시실에서 기획전 '염상섭 문학전: 근대를 횡보하며 염상섭을 만나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선 근대화가 나혜석(1896~1948)을 모티브로 삼아 당대 주요한 관심사였던 자유연애와 신여성의 결혼문제를 그려낸 '해바라기'가 처음으로 공개된다. 실제로 염상섭과 나혜석은 일본 유학 시절부터 친분이 두터웠으며 나혜석은 염상섭의 또 다른 창작집 '견우화'의 표지화도 그렸다.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 "흔히 염상섭의 첫 창작집으로 1924년 8월 10일 발간된 '만세전'를 생각하지만, 그보다 열흘 먼저 세상에 나온 창작집이 1924년 7월 31일 박문서관에서 발간된 '해바라기'"라며 "발간 시기와 내용 등에 비추어 볼 때 '해바라기'는 우리나라 근대문학에서 매우 가치 있는 자료"라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황석영 작가가 뽑은 한국 명단편 중 하나인 '전화'가 수록된 단편 소설집 '금반지'도 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다.
전시는 그의 작품을 필두로 7개 주제로 나뉘어 구성된다. 1부 '염상섭 문학의 출발: '만세전'과 '일본 오사카 독립선언''에서는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염상섭의 독립운동 행적과 이 시기를 전후하여 탄생한 소설 만세전(원제: 묘지·1922)을 조명하고, 2부 ''폐허(廢墟)'의 식민지에서 피어올린 '견우화(牽牛花)''에서는 일본 유학을 끝내고 조선으로 돌아온 염상섭의 주요 활동을 살펴본다. 그는 1924년 한해 동안 '해바라기', '만세전', '견우화' 3권의 창작단행본을 출간했다.
새로운 창작 경향을 보여주는 소설집 '금반지'와 그 가운데서도 근대적 문명인 전화의 도입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식민지 부르주아의 일상과 풍속을 그려낸 단편 '전화'를 오디오로 감상하고, 한국근대문학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삼대'에 나타나는 식민지 경성과 조선인의 삶의 모습을 엽서, 삽화, 비디오 등 다양한 시각자료로 살펴볼 수 있는 것도 이색적이다.
이 밖에도 전시장에선 해군 입대 후 염상섭의 삶을 그려볼 수 있는 다양한 유품, 한국전쟁기 서울시민의 삶의 모습을 다룬 작품 등을 접할 수 있다.
박주환 관장은 "국립중앙도서관은 그동안 국가문화유산으로서 가치 있는 근대문학자료의 수집·보존에 힘써 왔다"며 "이번 전시가 근대문학자료들의 가치를 다시금 되새기고, 한국 문학의 거목 염상섭 작가를 새롭게 이해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