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중국의 窓] 한·중 계란의 ‘몸값’

2017-08-31 11:30
  • 글자크기 설정

양국 가격변동선 정반대 현상

[천천(陳晨) 성균중국연구소 책임연구원(사회학 박사)]

올 초부터 최근까지 한국과 중국에서 꾸준히 이어온 이슈 중 하나는 ‘계란 값’일 것이다. 물론 물가 변동은 종합적 요소의 공동적인 작용에 결국은 공급과 수요의 균형 문제로 귀결할 수 있지만, 그 이면의 현실은 흔히 생각하는 인과관계보다 복잡하다.

올 상반기 한·중 양국의 언론을 살펴보면 한국에는 ‘AI(조류독감) 영향으로 계란 값 급등’과 중국은 ‘AI 영향으로 계란 값 폭락’이라는 기사를 종종 확인할 수 있다. 비슷한 시기에 양국은 모두 AI의 공격을 당했는데도 계란의 몸값은 정반대의 결과를 낳은 것이다.

한국은 작년 연말부터 계란 가격이 계속 상승세를 보이는 것과 관련해 그 원인을 AI에서 찾았다.

반대로 비슷한 시기에 AI의 발생과 확산에 휩싸여 있는 중국에서 계란 가격의 변동선은 한국과 정반대 방향으로 그려지기 시작했다.

대략 작년 10월 말부터 11월 초 사이에 계란 가격은 쭉쭉 떨어져 전년 동기 대비 무려 30~40% 정도 폭락했다. 시중 판매가는 500g(특란 8개 정도)에 2위안(약 340원) 불과하다. 이는 10년 전 가격과 비슷하다. 공교롭게도 올해는 ‘닭의 해’인 정유년(丁酉年)이다.

이러한 중국의 계란 가격 추세는 무려 8개월 동안 유지됐다. 그러다 여름을 기점으로 가격이 급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중국인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한국 계란 가격 폭등의 주원인을 AI 확산의 확산이라고 가정했을 때 전국 범위에서 조류에 대한 대규모 폐사로 인한 공급의 감소로 이어졌을 것이다.

중국은 왜 달랐을까. 실제로 1985년 이후 중국의 계란 생산량은 세계 1위를 유지해왔다. 중국은 현재 전 세계 계란 생산량의 38%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계란 수출 규모는 생산량의 0.5% 미만이고, 수입은 거의 금지된 상태다.

그 중에서도 계란 가공식품에 비해 신선란 소비는 90%이상을 차지한다. 또한 식품 특성상 보존기가 짧기 때문에 중국에서 소비되는 비중이 절대적이다.

지난 20년간 중국 계란 시장의 변화를 보면 공급 변동에 비해 수요 변동은 더 안정적이다. 중국인의 익혀먹는 식습관과 최근 수년간 AI 예방 지식의 보급에 의해 수요에 미치는 AI의 영향력은 약화되고 있다. AI가 중국 계란 가격 폭락의 주원인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중국 양계업의 현황을 보면, 계란 총생산량은 세계 1위인데도 불구하고 양계업은 여전히 비전문가와 중소 규모의 자영업자 위주로 사육되고 있다. 영업허가를 받는 사육장도 많지 않다. 사육 규모가 2000마리 미만의 사육장은 전체 사육장 수의 90% 이상을 차지하는데 전국 산란계의 4분의3을 점유하고 있다.

농산물시장(재래시장)에서 신선란을 구매하는데 계란의 산지와 생산날짜는 아예 계란에 찍혀 있지도 않다.

소규모·비전문화·분산 사육의 양계 산업 현황은 과학적 관리가 어려울 뿐더러 시장 변화에 대한 민감도도 많이 뒤쳐져 있다.

2000년 이후 계란 가격 변동은 대략 2년 단위의 주기성이 보이고 있다. 2013년 중국 AI 사태 이후, 2014~2015년에 계란 가격이 크게 올라가 양계업자는 큰 이득을 얻었다.

2015년~2016년에 대량 농가·농사, 소규모 자영업자들이 양계업에 진입하는데 시장 계란 공급이 계속 증가 추세다.

중국 계란의 주요 산지는 허난(河南)성(14%), 산둥(山東)성(14%), 허베이(河北)성(12%), 랴오닝(遼寧)성(10%), 장쑤(江蘇)성(7%), 쓰촨(四川)성(5%) 등 지역에 골고루 분산돼 있다.

한국이나 일본에서 AI 발생 시 전국 대규모 살처분을 진행하는 것과 달리, 중국에서는 AI 발생하는 일부 지역에서만 폐사 처분을 하기 때문에 전국 계란 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대신 중국 정부는 AI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살처분의 범위보다 훨씬 넓은 범위에 가금류 도소매 시장을 철저히 폐쇄하고 거래를 금지시켜 지역 간의 유통을 엄격히 통제한다.

매년 3~5월은 산란기를 지난 산란계를 도태하고 새끼 병아리를 보충하는 교체기인데, 보통 도태된 산란계는 사육 규모의 20%를 차지한다.

중국인들은 계란을 즐겨먹는 편이지만 닭고기가 육류 소비 구조에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다. 닭고기가 육류 소비의 약 30%를 차지하는 한국인에 비해 닭고기, 오리고기 등 가금류 고기의 소비 비중은 20% 미만이다.

가금류 거래 시장의 폐쇄에 생닭·닭고기 수요의 감소를 더해 도태한 산란계를 계속 사육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그 외에 계란 가격의 변동에 있어서 기후·계절 변화·명절·정부 개입 등 다양한 요소들이 있을 것이고 보다 명확한 분석은 보다 구체적 자료가 필요하다.

최근 들어 한국의 살충제 계란으로 인해 한·중의 계란 가격은 서로 뒤바뀌고 있다. 한국의 계란 가격은 소비자들의 불안에 수요가 줄면서 떨어지고, 중국은 상승하는 모양새다.

AI 등 각종 변수를 감안하더라도, 한국과 중국의 계란 가격을 경제학 공식으로 간단히 요약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