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에서 처음으로 금융 수장 자리를 놓고 벌이는 경합으로, 이번 인선 결과가 향후 금융권 인사의 척도가 될 것이란 관측에서다.
즉, 내부 발탁이 이뤄지면 전체 금융권은 앞으로 일정 부문 자율경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낙하산 인사가 선임되면 새 정부의 입김을 어느 정도 각오해야 하기 때문이다.
14일 BNK금융에 따르면 임원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오는 17일 심층면접을 거쳐 지주 회장 최종 후보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현재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박재경 BNK금융 부사장(회장 직무대행), 정민주 BNK금융경영연구소 대표 등 3명이 후보에 올라 있다.
임추위는 투명성을 강조하며 지주 회장과 은행장을 분리해 공모를 진행했고, 16명이 회장직에 지원했다. 그러나 일부 후보자를 두고 어김 없이 낙하산 논란이 불거졌다.
논란의 주인공은 김지완 전 부회장이다. 수년 간 현업을 떠나 있었던 것은 물론 나이도 만 70세가 넘어 다른 금융지주에서는 지원조차 불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BNK 금융노조는 "연령 규정에 따라 다른 금융지주에서는 이미 탈락했을 고령자가 후보에 포함됐다"며 "또 현 정권의 실세와 학연 등으로 얽힌 의혹도 있다"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노조는 또한 심층면접이 열리는 17일 본점 사옥에서 대규모 투쟁 집회를 예고했다.
나머지 두 후보는 내부 출신으로 이 같은 논란에서 한 발 떨어져 있다. 금융기관의 자율성 차원에서 내부 지원자 중 한 명이 회장 자리에 올라야 한다는 게 금융권의 중론이다.
실제로 김지완 전 부회장이 BNK금융 회장에 선임된다면 현재 공석이거나 연말에 자리가 비게 될 금융기관 수장 인사에도 정부의 입김이 작용할 것이란 우려가 크다.
금융감독원, 한국수출입은행 등의 금융공공기관과 SGI서울보증보험 등 금융공공기관이 최대주주로 있는 곳들이 주요 대상이다. 정부와 수협중앙회의 알력이 이어지고 있는 SH수협은행도 빼놓을 수 없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감원 등은 기존에도 정부의 영향력이 컸지만 공공기관이 아닌 곳들까지 정부 눈치를 보거나 휘둘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며 "BNK금융이 좋은 선례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