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7일 청와대에서 가진 주요 기업인과의 대화에서 인사말을 통해 정부와 기업 간의 관계를 이렇게 밝혔다. 여기서 문 대통령이 언급한 기업의 경제활동 범위는 기술혁신과 매출 및 수익증대라는 기업 고유의 역할을 넘어 사원과 고객, 지역사회 및 국가 구성원 모두가 함께 번영하는 확장된 개념이다.
이는 모든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둥, 즉 ‘착한 기업’으로 진화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이미 오래전부터 강조되어 왔으며, 기업도 이에 공감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저서 ‘새로운 모색, 사회적기업’에서 최빈국의 빈곤은 경제 취약에 따른 절대적 빈곤인데 반해 선진국의 빈곤은 복지 사각지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대적 빈곤이 주를 이룬다고 봤다.
이를 위해 그동안 기업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실천했다. 하지만, 국민들의 기업에 대한 반감이 여전히 크다. 고도 성장과정에서 기업들은 부(富)를 집중적으로 취해 경제·사회적 양극화를 심화시켰고 청년 실업, 일감 몰아주기, 부당내부거래, 담합 등으로 기회의 균등을 상실케 한 주범으로 몰리고 있다. 지속가능을 추구하는 기업들에 이러한 ‘반기업 정서’ 이미지는 불안요소다.
따라서 기업들은 한국사회 선순환 구조를 복원하기 위한 활동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착한 기업’에 대한 욕구에 적극 대처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협력사 동반성장, 지역사회 봉사에 더해 청년 창업과 사회적기업 생태계 구성 등 국민들이 요구하는 확장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착한 기업’은 ‘존경받는 기업’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기업윤리 전문가 데이비드 뱃스톤 교수는 ‘영혼 있는 기업’이라는 책에서 매년 가장 일하고 싶은 직장으로 손꼽힌 미국의 25개 기업을 심층조사한 뒤, 존경받는 기업의 8대 조건으로 △기업의 생존과 활력을 보장하는 책임경영 △투명한 재무구조를 기반으로 한 신뢰경영 △사회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소속감 확립 △고객만족을 추구하는 소비자 존중경영 △조직 구성원들의 가치 있는 참여경영 △이해관계자로서의 환경을 보호하는 친환경 경영 △이해관계자와 공정하고 균형감 있는 관계 확립 △제3세계 노동자와 시민권을 보호하는 인권경영을 들었다.
뱃스톤 교수는 “미래를 주도할 기업들은 기술력이나 브랜드 가치 이외에도 도덕적인 판단기준인 기업의 ‘영혼’을 가져야만 진정으로 살아 숨 쉬는 기업으로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를 위해 현 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경영자들이 윤리적인 원칙과 소신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