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의 빛, 서민금융 전성시대①] 저축銀업계 '전문경영체계' 구축, 대규모 부실사태 딛고 '환골탈태'

2017-07-17 19:00
  • 글자크기 설정

- 서민금융 전성시대 ⓛ -

외국계ㆍ대형사 위주 업계 재편

총 수신액 45조까지 끌어올려

고금리 편취 이미지 탈피 숙제

임애신 기자 = 대규모 부실사태, 고금리 대출 등으로 저축은행 영업정지가 속출한 지 어느덧 5년이 지났다. 그 동안 업계는 오롯이 생존을 위해 달려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같은 노력으로 대내외적으로 최근 소기의 성과를 이뤘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저축은행 업권에는 족쇄가 달려 있는 모습이다. 저축은행이 확장할 수 있는 사업영역이 제한된 데다 온갖 규제에 묶여 있기 때문이다. 

◆수익 '이상무'...11분기 연속 흑자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업계 구조조정 과정에서 30곳이 넘는 저축은행의 최대주주가 바뀌었다. 이 과정에서 대형 저축은행들이 대거 퇴출되면서 2011년 말 60조2000억원이던 자산은 급감했다. 지난해에는 53조6225억원까지 회복했다.

​올해 1분기 기준 저축은행은 총 79개사다. 2011년 말 93개에 비해 14곳 줄었다. 현재 서울(23개사)과 경기·인천(19개사)에 절반 이상이 몰려 있다.

예·적금의 수신평균금리는 2011년 5.00%에서 올 1분기 2.19%까지 낮아졌다. 대출금리 역시 같은 기간 16.02%에서 10.92%까지 하락했다.

수익에서 먹구름도 걷혔다. 영업정지 사태 전후 적자를 이어오던 저축은행업권은 2014년 3분기 첫 분기 흑자를 낸 후 11분기 연속 고공행진 중이다. 금융감독원의 '저축은행의 2017년 1분기 영업실적'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2496억원을 기록했다. 대출 이자 이익 덕이다.

여·수신 규모도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2010년까지만 해도 수신 잔액이 77조원에 달할 정도로 승승장구했다. 그러다 영업정지 사태로 인해 47개월 연속 뱅크런(대규모 인출)이 이어졌고 수신액이 30조원까지 쪼그라들었다.

지난해엔 저축은행 총 수신 규모가 45조700억원까지 올라왔다. 이는 2011년 63조110억원 이후 최대 규모다. 여신 또한 지난해 43조4650억원을 기록해 최근 5년새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상위 10대 저축은행, 절반이 외국계...경영은 전문적으로

이렇게 재편된 저축은행은 대형사가 업권을 리드하는 모습이다. 자산 1조원 이하인 중소저축은행이 64곳으로 전체의 81%에 달한다. 자산 규모가 2조원을 초과하는 곳은 SBI, HK, 한국투자, OK저축은행 등 4개사다. 1조~2조원은 11개사, 3000억~1조원 33개사, 3000억 이하는 31개사로 집계됐다.

 

[자료= 예금보험공사 제공]

국내 자산 규모 상위 10위 저축은행 중 다섯 곳이 외국계다. SBI(1위)와 JT친애(5위), OSB저축은행(6위)은 일본계이며, HK(4위)는 미국계, 페퍼(10위)는 호주계다. 나머지 OK(2위), 한국투자(3위), 웰컴(7위), 현대(8위), 모아저축은행(9위)은 토종이다.

일본계인 JT저축은행과 대만계인 유안타저축은행까지 포함하면 외국계 저축은행은 총 7곳으로 늘어난다. 외국계 저축은행 7곳 중 5곳이 상위 10위에 들었다. 이처럼 상위 10위에 외국계 저축은행이 대거 포진해 있는 건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일본을 중심으로 한 외국계 자본이 부실저축은행을 인수하면서부터다.

외국계가 절반을 차지하고 있지만 CEO는 OSB저축은행의 킷스 샤켓과 페퍼저축은행의 장 매튜를 제외하고 모두 한국인이다. 서민 정서가 강하게 녹아 있는 저축은행의 특성상 현지 분위기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고, 지역사회의 거부감도 적다는 판단에서다. 

오너가 곧 대표로 여겨지던 창업주 경영시대도 웰컴저축은행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웰컴저축은행은 지난 3월 손종주 창업주 겸 대표가 물러나면서 김대웅 웰컴저축은행 전무가 신임 대표로 선임됐다. 10대 저축은행 모두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한 건 오너의 사금고화를 미연에 차단하고 경영에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다. 
 
SBI저축은행은 10대 저축은행 중 유일하게 각자 대표체제를 구축했다. 이는 각 대표가 담당 분야를 나눠서 책임 경영을 하는 방식이다. 2015년 9월부터 지금까지 각자 대표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 임진구 대표는 기업금융을, 정진문 대표는 리테일을 기반으로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10대 저축은행 대표들의 평균 재직 기간은 3년 6개월로 나타났다. 최장기 근무자는 조재형 모아저축은행 대표다. 2010년 8월 26일 대표로 취임한 이후 7년 가까이 재직하고 있다. 한국투자저축은행의 남영우 대표도 조 대표 취임 5일 후에 대표로 선임됐다. 윤병묵 JT친애저축은행 대표이사와 이계천 현대저축은행 대표는 2012년 취임해 5년째 대표를 맡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가 부실 사태에서 벗어났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지만 동시에 고금리로 인한 편취 등의 이미지는 넘어야 할 산이다. 업권 관계자는 "저축은행을 은행의 연장선으로 보면 안된다"며 "애초에 저축은행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은행과 뭐가 다른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경우 이해할 수 없는 규제들이 산적해 있다"며 "과거 저축은행 사태를 일으킨 장본인이기는 하나 정도가 심하다"고 토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