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지난 27일 김명우 두산중공업 사장은 관리부문 임직원들을 급히 찾았다. 이날 오후 4시에 국무조정실 주재로 진행된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에 관한 브리핑을 직접 챙기기 위해서였다. 김 사장의 지시를 받은 임직원들은 이날 동분서주하며 브리핑 내용 파악에 나섰다.
이날 정부는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중단 여부가 시민배심원단에 의해 최종 결정토록 했다. 이에 앞서 사회적 공론화를 형성하기 위해 신고리 5·6호기 건설은 3개월 정도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28일 두산중공업이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중단 움직임이 급물살을 타면서 각기 다른 셈법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신규 원전의 건설취소는 국내 원전 주설비를 독점으로 공급해왔던 두산중공업에게는 수주 무산으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두산중공업이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설비 부문에서 입게 될 손실은 불가피하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원전은 공정률을 단위로 끊어 정산이 바로 이뤄져 투자비용에 대한 손실은 거의 없다”면서도 “이번 원전 프로젝트에 참가로 기대되는 매출 달성은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도 신규 원전 백지화는 두산중공업에 부정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이상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두산중공업은 올해 3000억원, 내년과 2019년 각각 7000억원의 매출 차질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원전 건설을 대체할 시장으로 주목받는 원전 해체 부문도 알려진 것과 달리 당장의 수익 모델로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원전의 본격적인 해체를 위해서는 가동 중단 이후 수 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두산중공업이 원전 해체 시장의 수혜 기업으로 꼽히면서도 마냥 웃을 수 없는 이유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원전 해체하려면 가동을 중단하고 원자로가 완전히 식을 때까지 5년을 지나야 작업이 가능하다”라며 “그 동안 해체 작업 준비만을 하며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바로 수익이 발생하는 사업은 아니다”라고 토로했다.
또 원전해체에 들어가는 비용도 조 단위로 만만치 않다. 때문에 이를 고려해 원전 중단을 다시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관련 업계는 원전 1기 당 해체비용이 약 1조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 가동 중단 대상 원전이 총 12기인데, 모두 12조원의 비용을 국가 예산으로 써야하는 것”이라며 “어떤 것이 효율적인 방안인지 논의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아울러 향후 원전 수출 시장에서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복수의 국내 원전업계 관계자는 “해외 원전 수주 시장에서 경쟁사들이 지적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원전 수출 경험이 전무하다는 것”이라며 “그간 국내 원전 건설 경험을 강조하며 이를 극복해 최초로 UAE 원전 수출을 이뤘는데, 이제 이마저도 힘들게 됐다”라고 언급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두산중공업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 중”이라면서도 “원전이 안전하고 경제적인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최종결정 때까지 여론의 추이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부는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중단 여부가 시민배심원단에 의해 최종 결정토록 했다. 이에 앞서 사회적 공론화를 형성하기 위해 신고리 5·6호기 건설은 3개월 정도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28일 두산중공업이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중단 움직임이 급물살을 타면서 각기 다른 셈법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신규 원전의 건설취소는 국내 원전 주설비를 독점으로 공급해왔던 두산중공업에게는 수주 무산으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원전은 공정률을 단위로 끊어 정산이 바로 이뤄져 투자비용에 대한 손실은 거의 없다”면서도 “이번 원전 프로젝트에 참가로 기대되는 매출 달성은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도 신규 원전 백지화는 두산중공업에 부정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이상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두산중공업은 올해 3000억원, 내년과 2019년 각각 7000억원의 매출 차질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원전 건설을 대체할 시장으로 주목받는 원전 해체 부문도 알려진 것과 달리 당장의 수익 모델로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원전의 본격적인 해체를 위해서는 가동 중단 이후 수 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두산중공업이 원전 해체 시장의 수혜 기업으로 꼽히면서도 마냥 웃을 수 없는 이유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원전 해체하려면 가동을 중단하고 원자로가 완전히 식을 때까지 5년을 지나야 작업이 가능하다”라며 “그 동안 해체 작업 준비만을 하며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바로 수익이 발생하는 사업은 아니다”라고 토로했다.
또 원전해체에 들어가는 비용도 조 단위로 만만치 않다. 때문에 이를 고려해 원전 중단을 다시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관련 업계는 원전 1기 당 해체비용이 약 1조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 가동 중단 대상 원전이 총 12기인데, 모두 12조원의 비용을 국가 예산으로 써야하는 것”이라며 “어떤 것이 효율적인 방안인지 논의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아울러 향후 원전 수출 시장에서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복수의 국내 원전업계 관계자는 “해외 원전 수주 시장에서 경쟁사들이 지적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원전 수출 경험이 전무하다는 것”이라며 “그간 국내 원전 건설 경험을 강조하며 이를 극복해 최초로 UAE 원전 수출을 이뤘는데, 이제 이마저도 힘들게 됐다”라고 언급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두산중공업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 중”이라면서도 “원전이 안전하고 경제적인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최종결정 때까지 여론의 추이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