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이어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북한에 대한 경제·외교적 압박 가능성 등 강경 발언을 이어가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폭스뉴스가 27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이날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인도기업위원회 리더십 서밋에서 연설을 통해 "북한 정권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중대한 위협"이라며 "북한이 핵을 포기할 때까지 경제적·외교적 압박을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첫 정상회담은 '역사적이면서 생산적'인 일"이라고 평가한 뒤 "유엔의 대북제재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영향력을 넓히고 있는 인도의 리더십에 감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한 강력한 대북 정책을 시사한 직후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된다. AFP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모디 총리와의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북한은 엄청난 문제들을 일으키고 있다"며 "북한 문제를 시급하게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신규 대북 제재'가 어떤 내용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국제제재를 넘어서는 더 높은 수위의 독자제재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한편 스콧 브레이 미국 국가정보국(DNI) 동아시아 담당관은 북한이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한미연구소(ICAS)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스콧 담당관은 26일(현지시간) ICAS 주최로 헤리티지재단에서 열린 '한반도 문제와 미국 안보' 주제 세미나에서 "김정은 북한 정권은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한 뒤 몰락한 무아마르 카다피 전 리비아 국가원수의 사례를 발판 삼아 핵무기 개발 의지를 유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관련 논란에도 한미 동맹은 불변할 것"이라며 "북한과 김정은 정권은 미국 안보의 최우선 과제인 만큼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