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승 카이스트 교수 "4차 산업혁명 시대 속 '일자리', 업의 영역을 넓혀야"

2017-06-20 11:59
  • 글자크기 설정

20일 오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개막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융합과 네트워킹 컨퍼런스'에서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가 '제4차 산업혁명 테크놀로지와 경영환경 변화'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경제 권지예 기자 =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며 이슈로 떠오른 '일자리'의 미래를 진단하며, 각 업(業)의 영역을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일 삼구아이앤씨는 국제경영원과 공동으로 서울 신라호텔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융합과 네트워킹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정재승 교수는 "컴퓨터화가 가능한 일자리가 무려 47%로 700만개 정도의 일자리가 사라질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면서 "지식노동자들의 미래가 밝지 않다는 것을 느낀 것"이라고 기조강연을 시작했다.

정 교수는 "4차 혁명이 중요한 이유는 IT 기술, 사물인터넷이라는 것은 그동안 인터넷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줬는데, 앞으로는 사람을 둘러싼 모든 사물에 인터넷 센서가 붙어서 사물끼리 커뮤니케이션 하는 세상을 만들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4차 산업혁명은 모든 사물 오프라인이 모두 데이터화되고, 온라인 상에 정보처럼 존재하게 되면서 오프라인 세상이 온라인과 일치하는 세상을 만든다. 또한 온라인 세상에서 존재하는 정보들 분석해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해주겠다는 것이 혁명의 핵심개념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라지는 직업들에 대해 정 교수는 '재정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로봇저널리즘'을 예로 들었다.

그는 "이미 야구 기사나 주식 시세 기사는 야구를 관람하는 로봇이 그 데이터를 분석해서 쓴 기사, 주식시세를 분석해 쓴 기사가 '정형화'돼있어서 인공지능이 쓴 것이 만족도가 높다"면서 "미국에서는 이미 연예인들에 대한 가십 기사, 주식 기사는 30% 가까이 인공지능이 대체해서 작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자는 사라질것인가'는 질문에는 "언론의 지형도에는 변화가 있을 수 있다"면서도 "기자의 본질인 아젠다를 세우고 취재하고, 그 과정에서 굉장히 중요한 사람들을 인터뷰하고 현장에 가는 작업이 인공지능이 대체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번역'의 분야에서도 지난해 11월부터 현저히 나아진 구글의 번역기술을 언급한 정 교수는 "문장을 치면 바로 번역해주고, 단문은 95% 이상으로 번역기술이 정확해졌다"면서 "상용화는 안됐지만 이어피스 끼면 들리는 말이 일어로, 영어로 번역돼 들리는 이어폰도 등장했다. 앞으로 번역과 통역의 미래가 밝지만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앞으로는 사람이 받아들이기에 더 매끄러운 번역을 선택하고 확인하는 번역의 업으로 확대되는 등의 작업이 확대되지 않을까"라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 바로 올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산업혁명은 전세계가 서서히 바뀌는 방식이 될 것"이라며 "독일이나 실리콘밸리는 이미 실험이 시작됐지만, 우리나라는 본격적으로 시작한 단계는 아니라 최소 5년의 준비할 시간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바뀔 트랜드를 준비하는 자세가 반드시 필요하다. 기업은 4차 산업혁명에 맞는 조직을 어떻게 구성하느냐가 일자리의 미래를 결정하게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