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중국이 지난해 10월부터 각지에서 추진한 구매제한령의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대도시를 중심으로 집값 하락세가 뚜렷해지는 분위기다. 투기를 방지해 레버리지를 축소한다는 취지지만 이러한 흐름이 오히려 자산거품 붕괴를 초래해 중국 경제를 흔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중국 부동산 시장의 변화는 개발업체 실적 변화를 통해서 엿볼 수 있다. 중국 대형 개발업체인 완커(萬科)의 부동산 거래량은 5월 들어 급감했다. 주쉬(朱旭) 완커 이사회 비서(주주대상 대변인 격)는 5일 열린 판매·경영 전화회의에서 "최근 부동산 구입 자격이 제한되고 부동산 대출이 어려워지면서 구매를 결정했다가 계약을 포기하는 사례가 증가해 타격을 입고 있다"고 밝혔다고 펑파이뉴스가 6일 보도했다.
완커뿐 아니라 대부분의 대형 부동산개발업체가 비슷한 상황이라고 주 비서는 말했다. 최근 당국이 투기·불법행위에 대한 관리·감독 역량을 강화하고 부동산 구매·신용 대출을 제한하는 도시가 늘어 거래량이 줄 수밖에 없다는 것. 은행 등 금융권이 소극적으로 나오면서 자금조달 난이도가 높아진 것도 경영상의 어려움을 키우고 있다고 덧붙였다.
5월 들어 베이징, 선전 등 대도시의 부동산 거래량이 줄고 거래가도 하락했다. 부동산 중개업체인 롄자(鍊家)의 경우 5월 베이징 기존주택 거래량은 4월 대비 무려 23.9%가 감소하며 2015년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워아이워자(我愛我家)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주 단위로 4000채를 웃돌았던 베이징 기존주택 거래량은 5월 들어 2000채를 웃도는 수준으로 줄었다. 지난달 29일부터 4일까지 한 주간 거래량은 1445채로 전주 대비 무려 50.9% 급감하며 감소세를 지속했다. 기존주택 평균 거래가는 전월 대비 2.4% 하락했다.
부동산 투기 광풍에 휩싸였던 선전시도 비슷하다. 중위안(中原)부동산에 따르면 지난 5월 8일부터 28일까지 3주간 선전 188곳 기존주택 평균 거래가는 1㎡당 5만2400위안(약 869만원)에서 4만8200위안으로 떨어지며 70주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자산 거품븡괴 우려도 커지고 있다. 중국 경제의 '뇌관'으로 꼽히는 부채문제가 터져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중국 4대 국유은행 신규대출 중 60%가 부동산 대출이었다. 주 비서는 올해 시장 상황이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며 연거푸 "매우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