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생태계 바꾸는 IFRS17] 고민빠진 보험사…자본확충에 지점 통폐합까지

2017-05-17 18:46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한지연 기자 = IFRS17이 도입되면 보험사의 회계상 자본은 줄어드는 대신 부채는 증가한다. 이는 보험사가 가입자에게 돌려줘야 할 보험금 지급여력이 축소된다는 의미다. 재무제표 악화는 중소형사의 신용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최악의 경우 문을 닫는 보험사가 나올 수도 있다. 

보험개발원은 IFRS17가 도입되면 보험사들은 약 40조원의 결손금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결손금 증가는 자본감소를 의미하기 때문에 그만큼 자본을 확충해야 한다. 특히 대형생보사의 결손금이 자기자본대비 92.8%로 가장 높았고 중소형사는 33.2%, 외국계는 14.4%로 나타났다. 이는 대형사와 중소형사들이 고금리 확정형 상품을 그만큼 많이 팔았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신용평가연구원은 IFRS17를 적용하면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RBC)이 (2016년 6월기준) 288%에서 121.2%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때문에 보험사들은 후순위채, 신종자본증권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자본확충을 서두르고 있다. 조직 통폐합에도 적극적이다. 실제 생보협회의 최근(2월 말) 국내 보험사들의 점포수는 3733개로 2014년(4353개)대비 620개나 줄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IFRS17에 철저하게 대비하지 않으면 1990년대 부도 위기를 맞은 일본 보험사의 전철을 밟을 수도 있다"며 "자본 확충을 포함해 지점 통폐합, 인력 구조조정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고 말했다. 

한화생명은 IFRS17와 신RBC제도 도입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최근 5000억원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교보생명도 새 회계기준 도입에 앞서 RBC비율을 높이기 위해 해외에서 5억달러(56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기로 했다. 이 회사는 상장과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두고 막판까지 고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양생명도 최근 대주주인 중국 안방보험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5283억원 규모의 자본을 확충했다. 알리안츠생명도 IFRS17 도입에 앞서 주주배정방식으로 218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했고, NH농협생명과 농협손보도 각각 3000억원, 1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 발행에 성공했다. 

상황이 녹록치 않은 중소형 보험사도 경영 효율성 개선에 올인하고 있다. 흥국생명은 IFRS17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점 통폐합 방안을 발표했다. 생산성이 낮은 지점을 인근 거점 지역으로 통합해 수도권 및 광역시에 위치한 22개 대형금융플라자를 10개로 재편하고, 140여개 지점도 80개로 축소한다. 연내 1000억원의 자본확충 계획도 세웠다. 

KDB생명도 RBC비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연내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하고 지점 축소, 희망퇴직 등을 통해 재무건전성을 개선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손보사들도 예외는 아니다. 롯데손해보험는 IFRS17에 앞서 1200억원 규모의 자본을 발행한다는 계획을 세웠고 흥국화재와 한화손보, 메리츠화재 등도 지난해 각각 200억원, 1280억원, 700억원 규모로 자본확충을 단행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IFRS17의 핵심은 기존 회계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보유 계약의 미래 수익성을 투명하게 드러내자는 것"이라며 "문제가 된 7~10%대 고금리 상품을 국내 대형사 위주로 팔았기 때문에 이들의 자본확충이 당분간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