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안선영 기자 = 요즘 시중은행의 최대 화두는 간편송금이다. 기존 플랫폼의 가치를 강화시켜 새로운 생존 전략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간편송금과 관련한 부가 서비스 모델도 만들겠다는 의지다. 결제 데이터와 사용자 경험을 확보할 수 있다면 추가 상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신한은행이 '써니뱅크 간편송금', KEB하나은행이 '텍스트뱅킹', KB국민은행이 '리브머니 보내기', IBK기업은행이 '휙서비스', NH농협은행이 '올원뱅크 간편송금' 등의 앱을 내놓고 고객 확보에 적극 나서는 이유다. 최근에는 인증서 없이 문자나 음성만으로 송금이 가능한 서비스도 앞다퉈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혹시나 '디지털뱅킹에 취약한 노인들이 범죄에 노출되지는 않을까', '내 지문이나 홍체 정보가 해킹되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부터 앞선다. 단순히 지문을 갖다대거나 '○○에게 ○○원 입금해줘' 등의 방식만으로 돈이 자유롭게 오가기 때문이다. 최근 각종 보이스피싱과 금융사기를 보고 겪었기 때문에 불안함은 더 클 수밖에 없다.
은행은 간편송금이 더 안전하다는 입장이다. 각 스마트폰 단말기에 있는 보안영역에 정보가 보관되기 때문에 은행 서버가 해킹되더라도 해킹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단말기를 잃어버리면 새 단말기에 다시 인증 등록을 하고, 기존 단말기의 인증정보는 삭제돼 오히려 기존 입출금 방식보다 안전하게 금융거래를 할 수 있다는 입장도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사실을 제대로 알고 있는 고객은 별로 없다. 간편송금이 단순히 간편해서, 혹은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궁금증 때문에 이용할 수는 있지만 보안에 대한 불안은 떨칠 수 없는 것이다.
고객이 필요한 것은 서비스 개발과 이벤트가 아니다. 은행도 이러한 고객 욕구를 적극 해소시켜야 한다. 진정으로 사랑받는 금융서비스가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