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중국 국적인 기업이 현재까지 22곳 상장했다가 약 3분의1에 해당하는 7곳이 상장폐지됐다.
2007년 상장한 3노드디지털그룹유한공사와 화풍방직(현 평산차업)은 각각 2013년과 2015년 퇴출을 당했다. 2008년 상장한 코웰이홀딩스유한공사와 연합과기 역시 각각 2011년과 2012년 증시에서 떠났다.
2009년 상장한 중국식품포장은 2013년에, 2010년 증시에 입성한 성융광전투자는 2012년 사라졌다. 2011년 증시에 들어온 중국고섬 역시 불과 2년 6개월여 만인 2013년 10월 퇴출됐다.
중국원양자원의 경우 지난해 허위공시 등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 기업의 외부감사를 맡은 신한회계법인은 "회사의 현금흐름 발생 사실과 완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일부 증빙을 수령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완리 외부감사를 맡은 이촌회계법인은 "당기에 발생한 사항에 대해 재무제표에 미칠 수 있는 전반적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회사에 관련자료 및 감사절차를 요청했으나 합리적인 답변 및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를 제공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어떤 기업의 주식을 살 것인지는 근본적으로 투자자 본인의 책임이다. 그러나 경영상 또는 도덕적으로 문제가 많은 중국 기업을 국내 증시에 상장시킨 거래소도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한국에 들어오는 중국 기업 중 많은 곳이 상장폐지된다는 것은 심각한 일"이라며 "상장 기준과 심사 기준 등을 더욱 엄격하게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증권사에서 일하는 중국 전문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중국 증시에서 상장하지 못하고 한국을 찾는 중국 기업이 많은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인터넷 종목토론실에서도 중국원양자원과 완리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뿐 아니라 거래소에 대한 불만을 드러낸다.
한 투자자는 "현재 상장된 다른 중국 기업들도 언제 갑자기 상장폐지될지 모른다"며 "이처럼 문제가 생길 경우 거래소와 상장 주관사가 함께 연대 책임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거래소 한 관계자는 "결과론적인 일이지만 결국 기업이 상장폐지된 것에 책임감을 느낀다"며 "다만 거래소와 증권사 역시 4~5달 동안 현장 실사 등을 통해 최대한 꼼꼼하게 심사하려고 노력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