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이랜드, 기업 정체성 찾아 삼만 리

2017-04-27 18:18
  • 글자크기 설정

[그래픽=아주경제DB]


아주경제 김온유 기자 = 이랜드그룹의 창립은 소위 '신화(神話)'로 불린다. 1980년 문을 연 2평 남짓한 옷가게가 36년 만에 7조원대 매출 기업으로 성장했으니 이에 토를 달기란 어려운 일이다.

이후 박성수 이랜드 회장은 '다(多) 브랜드' 전략으로 패션·주얼리 등 분야에서 빠른 성장을 거듭, 1993년 5000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1994년부터는 유통업과 식품사업에도 진출했다. 이어 호텔과 리조트 사업은 물론 2000년대에는 뉴코아, 한국까르푸, 동아백화점 등을 연이어 인수했다.
이랜드를 일컫는 말은 너무 많다. 패션·유통·레저·외식·문화·건설 모든 영역에 걸쳐 있다. 이는 모두 인수·합병(M&A)을 통한 성과였다. 다만 그와 동시에 이랜드는 그만한 부채 부담을 떠안아야 했다.

경제 저성장 기조가 짙어지자 2014년 이전 대비 이랜드의 차입금 부담 능력은 크게 약화됐다. 부채 비율 감소라는 과제 앞에서 이랜드는 그룹 일부를 떼어내기 시작했다. 현재 이랜드는 이랜드파크 외식사업부 18개 브랜드와 생활용품점 '모던하우스', 다수의 패션 브랜드를 매물로 내놨다.

남는 기업군은 소수로 좁혀졌다. 호텔·레저 사업과 유통기업 등이다. 

이랜드는 특히 유통기업으로서 애착을 보였다. 우선 서울시내 면세점 사업이 그랬다. 지난해 이랜드는 기업 여건상 특허 입찰에 불참하겠다고 밝혔지만, 향후 가능성은 열어뒀다. 

중국 시장에서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이랜드그룹은 중국 팍슨 그룹과 손잡고 '팍슨-뉴코아몰'을 상하이에 개장하면서 2020년까지 현지 매출 1위 유통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 게다 기업 숙원인 이랜드리테일 기업상장을 앞두고 '유통기업'으로서의 재정비는 더욱 절실하다. 

이를 바라보는 우려의 시각도 적지 않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유통업계가 저성장 기조를 보이는 탓이다. 이랜드 유통 부문에 자사 브랜드가 입점한 경우가 많아 자체 성장동력을 잃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그러나 부채 비율을 줄이려는 노력은 장기적으로 자사와 경제 전반에 모두 건전한 움직임이다. 이랜드는 부채 비율 감소를 목표로 분주히 가지를 쳐내고 있다. 당장은 잔가지가 아닌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 건전성이라는 자양분이 반드시 필요하다. 황폐한 땅에서는 아무리 좋은 품종의 나무라 한들 자랄 수 없다.

“이랜드리테일이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유통 이외 부문 사업을 떼어내고 온전히 유통사업만 가지고 상장해야 한다"는 자사의 다짐처럼, 대내외적인 이슈를 극복하고 온전한 이랜드 신화를 이어가길 기다려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