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부식·훼손 예상보다 심각…침몰지점 해저면 수색 시작

2017-04-02 15:24
  • 글자크기 설정

[사진제공 = 해양수산부]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만 3년을 바닷속에 가라앉아 있다 해상 위로 올라온 세월호의 부식과 훼손 상태가 생각보다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사고 원인 규명에 난항이 예상된다.

세월호는 해상 위로 올라와 공기에 노출되면서 부식 속도가 빨라진 데다 인양 과정에서 곳곳이 훼손된 상태다.
2일 선체조사위원회가 반잠수식 선박에 실린 세월호 선체를 촬영·공개한 영상을 보면 세월호는 곳곳이 녹이 슬었다.

수면 위로 떠오른 직후의 모습과 비교하면 부식이 진행된 면적이 눈에 띄게 늘었다. 선체 바닥은 적갈색의 녹이 점점 갉아먹어 본래의 파란색이 모습을 감춰가고 있었다.

선체 역시 색칠이 벗겨지거나 조개껍데기, 이물질이 잔뜩 달라붙어 있는 상황이다. 선수 부분은 처음 세월호를 들었을 때 와이어가 파고들어 6∼7m 넘게 찢겨나갔다.

특히 객실이 있는 선미 쪽은 파손 상태가 더 심각했다. 침몰하면서 해저와 닿은 충격 때문인지 철제 난간 등 각종 구조물은 심하게 찢겨져 있었다.

구조물이 구겨지고 찌그러지면서 선체 내부를 맨눈으로 볼 수조차 없는 상태였다.

인양 과정에서 잘려나간 선미 좌측 램프 부분은 큰 구멍이 뚫렸다. 이곳을 통해 쏟아져 내리다 걸린 것으로 보이는 승용차와 포클레인이 위태롭게 걸려 있었다.

이 차량과 포클레인은 반잠수선 갑판 위에 쌓인 펄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제거됐다.

선체 창문 곳곳에 부착된 유실방지막은 오랜 인양 과정에서 훼손됐고, 일부는 아예 사라진 곳도 있었다.

선체 훼손이 심각하자 사고원인 규명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특히 선체조사 방법에 대한 정부와 미수습자 가족 간의 합의도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정부가 최적의 방식으로 선택한 미수습자 수색 방법은 세월호 선수와 선미의 객실 부분만 절단한 뒤 크레인으로 똑바로 세워 부두에 내려놓는 '객실 직립방식'이다.

그러나 세월호 유가족 등은 이런 방식의 수색이 각종 의혹을 규명할 증거를 훼손할 수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한편 세월호 침몰지점의 해저면 수색작업도 시작됐다. 해수부에 따르면 상하이샐비지 소속 잠수사 50명이 2인1조로 물살이 약해질 때마다 잠수해 해저면 3만200㎡를 두 달간 수색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세월호를 들어올릴 때 미수습자가 유실될 우려가 있다고 보고, 세월호 주변으로 해저에 가로 200m, 세로 160m, 높이 3m의 철제펜스를 설치했다.

해수부는 잠수사를 철제펜스 내부에 투입해 3만2000㎡를 총 40개 구역으로 나눠 샅샅이 뒤진다.

한 구역당 크기는 가로 40m·세로 20m다. 무거운 추 2개를 해저에 떨어뜨린 뒤 잠수사 2명이 추를 잇는 줄을 따라가며 1m 간격으로 야삽을 이용해 바닥을 훑어나가는 방식이다.

특히 세월호 선체가 해저면과 닿아 있던 선미 쪽 두 개 지점은 '특별구역'으로 지정해 종·횡으로 4배 이상 꼼꼼히 반복 수색한다는 방침이다.

잠수사들의 수색이 끝나면 수중음파탐지기(소나)를 이용해 2차 수색에 나선다. 인양작업 중 잘라낸 선미 램프도 건져내 목포신항으로 가져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