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네갈에서 제2차 한-아프리카의 날 개최

2017-03-15 12:50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교육부가 14일 부터 17일까지 세네갈 다카르에서 열리는 아프리카교육발전협의회(ADEA) 총회에 참석했다.

이번 ADEA 총회는 2012년 이후 5년 만에 개최되는 아프리카 최대 교육분야 회의로 회원국 교육 장․차관, 아프리카 연합(AU), 국제기구, 선진국 원조기관 관계자 및 교육전문가 등이 참석해 아프리카 교육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14일(현지 시간) ADEA 2017 총회 사전 공식행사로 진행된 제2차 한-아프리카의 날 컨퍼런스는 ‘한-아프리카 교육협력 성과와 전망’을 주제로 아프리카 수원국 교육부 관계자가 참석해 토론을 벌였다.

개회식에 참석한 올리 디바 와다 ADEA 사무총장은 “한국은 아프리카의 중요 파트너로 교육발전 사례가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초교육 부문에서 기조발표를 한 유네스코잠비아위원회 찰스 은타칼라 국장은 “굿네이버스의 희망학교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희망브리지 사업이 잠비아의 기초교육 확대에 높이 기여했다”며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삼성전자와 협력하는 솔라스쿨 사례를,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콩고민주공화국 킨샤샤 대학교에서 추진한 원격고등교육 모델 개발 사례를 발표하기도 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등 8개 기관이 참여한 한국 홍보관에도 아프리카 교육관계자들이 방문했다.

아프리카는 30세 이하 청년층이 인구의 70%를 차지하고 이들의 직업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정부관계자의 관심 또한 높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은 마이스터고 등 한국직업교육 정책과 아프리카 직업교육 프로젝트 성과를 알리는 홍보 부스를 열었다.

한동대학교는 우간다 쿠미대학교와 공동 개발한 땅콩 숯 제조 과정을 시연했다.

정부초청장학생으로 부경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세네갈 디아따 진드린 아그네스씨는 한국 유학 경험을 소개하기도 했다.

다른 선진국은 외교부 또는 원조전문기관이 ADEA 운영위원회 회원이나 우리나라만 이례적으로 교육부가 참여해 한국 교육이 아프리카에서 인정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교육부는 설명하기도 했다.

강정자 교육부 교육개발협력팀장은 “우리나라의 이번 총회 참석은 2015년 ADEA 운영위원회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한 이후 처음”이라며 “아프리카 관계자가 수요자 관점에서 한-아프리카 교육협력사업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개선점을 발견하는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