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업무 지시 땐 할증임금 줘야" 유승민, 2호 공약 '칼퇴근법' 발표

2017-02-01 10:11
  • 글자크기 설정

대선 출마를 선언한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이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바른정당 당사에서 공약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바른정당의 대선 주자 중 한 명인 유승민 의원은 1일 '아이 키우고 싶은 나라'를 위한 2호 공약으로 일명 '칼퇴근법'을 발표했다.

추가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고, 야근 금지와 정시퇴근 등 칼퇴근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제도화하겠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이날 여의도 바른정당 당사에서 유 의원은 정책 브리핑을 통해 "아빠가 아이와 함께 놀 수 있고, 임신과 출산이 일하는 여성의 발목을 잡지 않으며,
청년들에게 더 많은 일자리 기회를 주기 위해서 칼퇴근 정착, 돌발노동 금지의 사회로 변화해야 한다"면서 이 같은 공약을 소개했다.

유 의원은 우선 "퇴근 후 SNS(사회 관계망 서비스) 등을 통해 업무 지시를 하는 소위 '돌발노동'을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확립하기 위해 돌발 노동 시 초과근로시간에 포함시켜 '할증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안이다. SNS 지시를 기다리느라 대기하는 경우도 해당 시간의 일정비율을 초과 근로시간에 산입키로 했다.

이는 개인적 여가시간과 근로 시간을 명확히 구분할 것을 규정한 독일의 '안티스트레스' 법안과 근로자들에 대한 업무 연락을 시간을 정해 차단한 프랑스의 '연결차단권' 등을 벤치마킹한 것이다.

또 그는 "근로일 사이에 '최소휴식시간'을 보장하는 제도도 도입하겠다"면서 "유럽연합(EU) 지침처럼 퇴근 후 최소 11시간 동안은 계속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규정을 도입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초등학교 취학 전의 아이의 부모에게는 최소 12시간, 또 임신 여성에게는 최소 13시간의 연속휴식을 보장하는 등 모성보호를 위한 차별규정도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최대 근로시간에 대한 규정 도입, 기업체의 근로시간 기록 및 보존 의무 부과도 공약의 일환으로 각각 내걸었다.

유 의원은 "1주 12시간 초과근로시간 한도는 현행법에 규정되어 있다"면서 "1년 단위로 초과근로시간 제한을 두어야만, 상습적인 야근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근로시간 기록은 관리를 엄격히 해 초과근로를 줄이고 초과 임금 지급도 명확히 한다는 복안이다.

아울러 근로시간 공시제 도입도 약속했다. 정부가 주요 기업에 대해 근로시간을 신고하는 의무를 부과하고, 그 결과를 공개해 지원 또는 부담금 부과 등 인센티브 정책을 강구한다는 계획이다.

유 의원은 "일과 가족양립을 가로막아 저출산이라는 재앙을 불러온 초과근로 문제는 이와 같은 개혁적 조치 없이는 해결할 수 없다"면서 "이제 우리 앞에는 선택이 아닌 결심만 남았다"고 강조했다.

앞서 그는 1호 공약으로 공공부문에 적용되는 '육아휴직' 3년을 민간 부문에서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육아휴직 3년법'을 발표한 바 있다.

유 의원은 "‘육아휴직 3년법’ 발의했을 때도 현실보다 앞서 나간 입법이라는 지적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출산 문제야 말로 제도가 현실을 앞서가야만 해결 가능한 과제"라고 역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