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차기 행장 자리를 놓고 내부적으로 보이지 않는 파벌이 나뉘어 과열 양상을 띠는 모양새다. 전임 이순우 행장에 이어 이광구 행장까지 두 번 연속 상업은행 출신이 은행장이 된만큼 이번에는 한일은행 출신이 선임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은 외환위기인 1998년 한빛은행으로 합병됐다. 이후 한빛은행은 2001년 예금보험공사가 설립한 우리금융지주로 편입됐고, 2002년부터 우리은행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합병 후 20년이란 시간이 흘렀음에도 임원들을 중심으로 여전히 과거 출신에 집착하고 있는 모습이다. 상업과 한일로 갈려 상대 측 후보에 대한 비방전을 벌일 정도다.
하지만 '외풍'에서 벗어나니 이제는 '파벌'에 발목을 잡혔다. '우리'라는 이름이 무색해 보인다.
민영화 체제 첫 해인 2017년은 우리은행에게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다. 우리은행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민영화가 꼭 필요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자칫 정부의 관리 아래 있었을 때가 낫다는 평가가 나올 수도 있다.
그만큼 민영화 1기를 이끌어나갈 은행장 선임 역시 신중해야 한다. 개인의 경영 능력이 아닌 출신을 먼저 따지는 것은 은행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너 한번 나 한번'식 관행이 굳어지면 오히려 내부 갈등만 더욱 부추길 수 있다.
따라서 지금은 사라진 상업·한일은행이 아닌 우리은행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경영자 선임이 이뤄져야 한다. 민영화의 성공은 여기부터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