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되는 웰니스 시대] <하> 미래 의료의 핵심 ‘정밀의료’, 정부 5000억원 투입한다

2016-11-02 13:07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정부가 미래 의료의 핵심으로 떠오른 정밀의료를 국가 프로젝트로 선정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총 5063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관계자는 2일 “국가프로젝트로 추진 중인 정밀의료 기술개발 사업을 위한 5000억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며, 이달 중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과 함께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밀의료는 유전체정보와 의료·임상정보, 생활습관정보 등을 통합해 분석하고 최적의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 방식이다.

이제까지 의사는 환자의 과거 진료기록을 토대로 경험과 보편적 치료를 통해 진단해왔지만, 정밀의료 도입으로 환자의 유전체정보와 진료기록, 생활습관, 인체자원 등을 인공지능(AI) 등으로 통합 분석해 과학적이고 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진단이 가능하다.

김현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기획단장은 지난달 25일 열린 ‘제23회 미래성장동력 오픈톡 릴레이’에서 “모든 약이 투여 받는 사람들에게 맞지 않으며, 특히 암 치료의 경우 약물이 맞지 않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정밀의료로 개인별 최적의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추진 중인 정밀의료 기술개발사업의 핵심은 ‘한국인 코호트(Cohort)’ 구축이다. 향후 5년간 10만명의 코호트를 구축해 이를 통합하고, 분석, 표준화한 플랫폼을 만든다. 또 암 진단·치료 기술개발을 위해 폐암, 위암, 대장암 등 3대 진행성 암 환자 1만명의 유전체를 분석한다.

통합된 의료정보를 클라우드 기반의 ‘차세대 의료정보시스템(P-HIS)'에 저장해 표준화하고 인공지능을 적용한 임상의사결정시스템, 사물인터넷(IoT)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임상시험을 통한 진단치료제 제조 개발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선진국에선 이미 정부 차원의 정밀의료가 추진되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정밀의료 계획을 발표하고 향후 15년 동안 10조원을 투입해 100만명의 미국인 코호트 구축에 나섰다. 영국도 10만명 규모의 영국인 코호트를 구축하기 위해 4200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그래픽=임이슬 기자]


국내의 경우,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정밀의료 연구가 추진돼 왔다. 삼성서울병원은 KT와 함께 1000명 규모의 암환자 유전체 정보 분석을 시작했으며, 서울대병원은 위암 등 6대 암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등 암 치료에 초점을 맞춘 정밀의료 연구가 주류다.  

그러나 정밀의료를 활용한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경우, 미국은 애플,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MS), 나이키 등 굴지의 대기업들이 관련 산업분야에 뛰어들어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경우 삼성, LG 등을 제외하면 산업자체가 없거나 미약하고 대부분 공공영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와 지능정보 기반의 정밀의료로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완쾌할 수 있게 되면, 국민건강수명을 오는 2025년까지 76세로 끌어 올릴 수 있고, 3대암 5년 생존률도 8.4%에서 14.4%까지 올라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