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관계자는 2일 “국가프로젝트로 추진 중인 정밀의료 기술개발 사업을 위한 5000억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며, 이달 중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과 함께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밀의료는 유전체정보와 의료·임상정보, 생활습관정보 등을 통합해 분석하고 최적의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 방식이다.
이제까지 의사는 환자의 과거 진료기록을 토대로 경험과 보편적 치료를 통해 진단해왔지만, 정밀의료 도입으로 환자의 유전체정보와 진료기록, 생활습관, 인체자원 등을 인공지능(AI) 등으로 통합 분석해 과학적이고 개인에 최적화된 맞춤형 진단이 가능하다.
정부가 추진 중인 정밀의료 기술개발사업의 핵심은 ‘한국인 코호트(Cohort)’ 구축이다. 향후 5년간 10만명의 코호트를 구축해 이를 통합하고, 분석, 표준화한 플랫폼을 만든다. 또 암 진단·치료 기술개발을 위해 폐암, 위암, 대장암 등 3대 진행성 암 환자 1만명의 유전체를 분석한다.
통합된 의료정보를 클라우드 기반의 ‘차세대 의료정보시스템(P-HIS)'에 저장해 표준화하고 인공지능을 적용한 임상의사결정시스템, 사물인터넷(IoT)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임상시험을 통한 진단치료제 제조 개발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선진국에선 이미 정부 차원의 정밀의료가 추진되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정밀의료 계획을 발표하고 향후 15년 동안 10조원을 투입해 100만명의 미국인 코호트 구축에 나섰다. 영국도 10만명 규모의 영국인 코호트를 구축하기 위해 4200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정밀의료 연구가 추진돼 왔다. 삼성서울병원은 KT와 함께 1000명 규모의 암환자 유전체 정보 분석을 시작했으며, 서울대병원은 위암 등 6대 암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등 암 치료에 초점을 맞춘 정밀의료 연구가 주류다.
그러나 정밀의료를 활용한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경우, 미국은 애플,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MS), 나이키 등 굴지의 대기업들이 관련 산업분야에 뛰어들어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경우 삼성, LG 등을 제외하면 산업자체가 없거나 미약하고 대부분 공공영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와 지능정보 기반의 정밀의료로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완쾌할 수 있게 되면, 국민건강수명을 오는 2025년까지 76세로 끌어 올릴 수 있고, 3대암 5년 생존률도 8.4%에서 14.4%까지 올라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