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더 나은 일자리 위원회’ 남성위주구성 '논란'

2016-07-19 17:18
  • 글자크기 설정

주경님 시의원 "조례위반…사회통합취지 무색"

윤장현 광주시장은 18일 시청 3층 중회의실에서 열린 ‘광주광역시 더 나은 일자리위원회’첫 회의에 참석해 광주형 일자리 모델 정착을 위한 사회적 합의 도출과 좋은 일자리 마련을 위한 의견을 나눈 후 참석 위원들과 파이팅을 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병규 광주시 사회통합추진단장, 이계양 광주YMCA 이사장, 정영일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상임대표, 이헌영 광주시 청년위원장,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의장, 최상준 광주경영자총협회장, 윤장현 광주시장, 문진수 광주광역시 여성단체협의회장, 지병문 전남대학교 총장, 장휘국 광주광역시 교육감, 남헌일 광주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서재홍 조선대학교 총장, 장필수 광주전남기자협회장)[사진=광주시 제공]

아주경제 김태성 기자 =광주시가 사회통합형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만든 ‘더 나은 일자리 위원회’가 남성 위주로 구성돼 법령 위반 논란에 휩싸였다.

19일 주경님 광주시의원에 따르면 전날 출범한 '더 나은 일자리 위원회' 전체 위원 14명(당연직 위원 2명 포함) 중에서 단 1명만 여성위원으로 여성비율 8.3%(위촉직 내 비율)에 그쳤다.

'더 나은 일자리 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에는 "위촉직 위원의 특정성별이 위촉직 위원 수의 10분의 6을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며 남녀 비율 중 한쪽 성별이 60%를 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주 의원은 "시가 스스로 만든 조례를 위반한 것은 물론 특정 성별이 90%를 넘겨 위원회의 사회통합 취지도 무색케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위원회의 핵심 파트너인 민주노총이 빠진상태여서 말 많은 ‘광주형일자리’에 대한 실체적인 방안을 위원회가 내놓을지 강한 의문이 든다"고 밝혔다.

광주시 사회통합추진단은 광주형 일자리 모델 실현을 위해 주요 이해당사자인 노와 사를 포함한 학계, 관공서, 시민단체등 15명이 참여하는 위원회를 구성하려했지만 민주노총은 불참했다.

'더 나은 일자리 위원회'는 광주형 일자리 모델 정립을 비롯해 △광주형 일자리 모델 정착을 위한 사회적 합의 도출 △새로운 노사 파트너십 형성 및 상생관계 구축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에 대해 심의·자문하게 된다.

시 관계자는 "각계를 대표하는 분들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성평등 관점에서 위원회를 구성하는데 한계가 있었다"며 "노동계가 민주노총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노동계의 의견도 충분히 반영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더 나은 일자리 위원회’설치 근거가 되는 조례안은 지난 달  13일 제 249회 광주광역시의회 본회의에서 통과 시킨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