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찬반 투표에 앞서 꾸준히 현지 지사망을 정보를 취합해온 각 그룹들은 이들 정보를 기반으로 향후 벌어질 EU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성해 놓고 그에 맞는 방안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그룹들은 특히, 브렉시트 이후 벌어질 EU경제지형의 변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만약 타 회원국들의 EU 연쇄 탈퇴 움직임이 가속화 될 경우 EU 전략 전반을 바꿔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계열사 별이 아닌 그룹 차원의 논의를 검토 필요성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아직은 사장단 회의 개최 등 가시적으로 움직이고 있진 않지만 상황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면서 “실제 탈퇴까지 2년이 남았으니 시간을 갖고 현지 분위기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나가는 지를 꼼꼼히 챙겨 그에 맞춘 대응안을 수립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영국은 EU내에서 국내총생산(GDP) 2위, 인구 수 3위를 차지한다. 그런 영국이 탈퇴한다는 것은 한-EU 교역에서 수치로 드러나는 직접적인 효과보다 드러나지 않는 간접적인 효과가 상실된다는 점에서 기업들은 우려스러워 하고 있다.
EU시장 전문가들은 통상 외국제품이 유럽시장에 처음 진출하는 경로를 국가별로 살펴봤을 때 영국 → 독일 → 스페인 → 이탈리아 → 프랑스라는 패턴을 보인다고 한다. 이는 EU역외산 제품 및 첨단 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을 받아들이는 정도가 영국이 가장 개방적이고, 프랑스가 가장 보수적이라는 것을 뜻한다. 많은 기업들이 유럽시장 공략을 위해 추진하는 마케팅을 영국에서 시작하는 이유다. 영국이 EU에서 떨어져 나가 반 EU 분위기가 고조된다면, 기존 유럽시장 공략법은 통하지 않는다.
재계는 영국을 계기로 다른 회원국들의 추가 탈퇴가 현실화 됐을 때 더 큰 문제라고 입을 모은다. 현재 이탈리아, 프랑스, 네덜란드에 이어 덴마크, 체코, 핀란드 등도 잠재 EU 탈퇴 후보국가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이들 국가들의 도미노 탈퇴로 EU의 존립 자체가 흔들린다면 유럽대륙의 경제가 악화되면서 국민들의 구매력 하락, 대규모 시설 투자 등이 감소돼 우리 기업들의 EU 사업에도 큰 차질이 우려된다.
재계 고위 관계자는 “다른 유럽국가들이 계속 탈퇴한다면 장기적으로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재계에서도 브렉시트 자체보다 EU 붕괴 가능성을 불안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업종별 각 계열사도 브렉스트가 어떤 결과를 낳을지를 예측하기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 되고 있다.
전자산업은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상 대부분의 제품이 무관세로 교역이 이뤄지기 때문에 큰 타격은 없지만 앞서 언급한 대로 마케팅 차원에서 ‘입소문’을 불어넣어줬던 영국이 떨어져 나가는 것이 아쉽다는 반응이다.
자동차와 타이어, 정유 등 한-EU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얻었던 관세 효과를 잃을 가능성이 높다. 향후 영국이 새로 맺을 무역협정이 어떤 내용으로 결정되겠느냐가 관건이다.
항공 및 해운업계는 영업에 큰 지장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유가, 환율 등에 민감한 업종인 만큼 일단 상황을 예의주시한다는 입장이다.
조선업계는 영국이 선박금융에 있어 의미 있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브렉시트로 영국 금융산업이 위축될 경우 선주들이 자금을 구하지 못해 선박 발주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반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