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부실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통화정책 결정에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면서 금리 인하의 여지를 남겼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13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5월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1.50%로 동결했다.
앞서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연 1.50%로 0.25%포인트 낮춘 이후 11개월째 현 수준을 유지키로 한 것이다.
하지만 시장 안팎에서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부실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대량실업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경기 둔화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한은이 통화정책으로 지원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란 이유에서다.
이주열 총재 역시 구조조정 상황에 따라 금리 조정에 나서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 총재는 이날 금통위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자본확충과 금리는 별개 사항이다"면서도 "다만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파급되는 실물경제, 금융시장 영향은 금리 정책 결정에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구조조정으로 인해 경제 상정이 나빠질 경우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뜻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자본확충과 금리정책은 하나의 묶음이 아닌 별개임을 강조하면서 추가적으로 통화완화 정책에 나설 가능성까지 보였다.
특히 이 총재는 "과거 금리를 인하할 때도 현재 금리 수준이 완화적이다 또는 실물 경제 지원에 부족하지 않다는 표현을 썼다"면서 "이 표현이 금리 정책의 직접적인 시그널로 받아들이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금리 수준이 실물 경제 활동을 지원하는 데 충분하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지만 이를 동결로 해석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박혁수 대신증권 연구원은 "완화적이라는 발언을 통화정책의 직접적 시그널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발언은 지난달 타이밍 발언에 이어 2개월 연속 금리 인하 여지를 남긴 것이다"고 분석했다.
상황이 이렇자 국책은행 자본확충 방안이 나오는 6월 이후 한은이 기준금리를 한 차례 이상 낮출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