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4·13 국회의원 총선거(총선) 최대 승자인 국민의당이 25일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와 천정배 공동대표의 투톱 체제를 올해 연말까지 유지키로 했다. 이는 총선에서 압승을 거둔 ‘안철수 체제’를 통해 20대 국회의 초반 주도권을 확보하는 한편, 올해 연말까지 당헌·당규 재정비 및 기간당원제 구축 등 하부조직 정비 등을 하기 위한 다중 포석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국민의당 각 계파진영이 ‘박지원 원내대표 합의추대설’과 ‘연립정부’ 등을 놓고 입장차를 노출, 물리적 화합에 그친 ‘안철수 체제’가 화학적 결합의 벽에 부딪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전망이다.
국민의당은 이날 국회에서 중진·최고위원 연석회의를 열고 20대 국회 첫 정기국회 이후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주승용 원내대표는 연석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당의) 기본 체제를 튼튼히 갖춰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전당대회는 정기국회 이후로 하는 것으로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역위원장 모집을 통한 문호 개방 △2018년 지방선거 인재 영입 △기간당원제 구축 △정책정당화를 통해 수권 비전 제시 △소통 시스템을 통한 당내 단결 등의 과제를 제시했다. 당분간 투톱 체제를 유지해 신생 정당의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변수는 각 계파 내부 반발이다. 애초 ‘투톱 체제’ 유지는 비례대표 4번인 이상돈 당선인이 주장한 안이다. 이 당선인은 안철수계로 통한다.
이 당선인은 “당헌이 규정하고 있는 창당 6개월 내 전당대회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당헌상 오는 8월2일 이전 전대를 개최하기에는 당원 수가 부족하다는 얘기다.
◆박지원 원내대표설·연립정부 화약고
여기에는 차기 대선 국면으로 접어드는 연말까지 ‘안철수 간판’을 당 전면에 내세워 시너지효과를 내야 한다는 전략적 셈법도 깔렸다. 사실상 ‘미니 총선’인 내년 4월 재·보궐선거까지 20대 총선 때 빛을 발한 ‘안철수발(發) 녹색 태풍을 이어가겠다는 복안으로 풀이된다. 현재까지는 ‘투톱 체제’ 유지에 대한 반발은 없는 상황이다.
문제는 그다음이다. 국민의당이 ‘투톱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선 당헌 수정이 불가피하다. 차기 당권을 둘러싼 계파 갈등은 피했지만, 대권 장악력이 필요한 안 대표와 당권을 위한 세력구축이 필요한 차기 당 대표 주자들의 이해관계 산물인 ‘투톱 체제’를 위해 당헌을 수정해야 하느냐는 반발에 부딪힐 수 있다. 신생 정당의 새 정치와 엇박자를 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차기 원내대표 경선도 갈등 지점이다. 안 대표 이외 뚜렷한 대안이 없는 대표 체제에 대해선 견해차가 크지 않을 수 있지만, 각 계파의 셈법이 얽힌 원내대표 경선에선 갈등이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당장 국민의당은 ‘박지원 원내대표·김성식 정책위의장’ 카드에 대한 반발이 터져 나왔다. 차기 원내대표 후보군인 유성엽 의원은 “당 대표도 유임되는 마당에 원내대표는 경선으로 뽑는 게 맞지 않겠나”라며 이 문제를 공론화했다. 이에 박지원 의원은 “(오늘 모임에서) 얘기가 안 나왔다”고 확답을 피했다.
대선 집권 플랜인 ‘연립정부론’도 논란거리다. 국민의당 호남 의원들은 총선 이후 범야권 내부에 제기된 야권통합론에 선을 긋고 연립정부를 골자로 한 단독 집권 플랜을 제시했다. 다만 박지원 등 호남 의원들은 DJP(김대중·김종필) 연합 행태에 방점을 찍지만, 안 대표 측 내부에선 대연정과 같은 가치 중심의 연립정부를 염두에 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당은 26∼27일 연찬회에서 관련 논의를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