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 최근 중국 자동차업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A중소기업은 고민이 생겼다. 중국에 자동차 생산을 위한 기계를 납품하기로 했지만 전기요금이 만만치 않아서다. 공장기계들을 다 돌리면 연간 전기요금만 2억 가까이 되는 등 한숨만 내쉬고 있다.
#. 지방이전을 한 B대학의 경우도 전기요금 탓에 걱정만 늘었다. 캠퍼스 신축으로 계약전력만 2000㎾에 달하는 등 시간대별 차등요금제가 적용됐기 때문이다. 연간 전기요금만 1억5000만원을 지불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학 측 관계자는 “대학협의회에 가보니 다른 대학들은 전기저장장치(ESS)를 설치하는 등 전기요금 절감을 계획하고 있다”며 “8000만원을 투입해 100kWh짜리 ESS를 설치할 경우 매년 1143만원의 전기요금 절감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ESS 전용요금제를 반영한 ‘전기공급약관 시행세칙’ 개정안을 인가한다고 밝혔다.
ESS는 피크절감용으로 사용할 경우 전기요금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예컨대 전기요금이 싼 밤에 ESS로 전기를 충전하고 요금이 비싼 낮에는 충전된 전기를 사용하는 식이다.
정부는 상가, 산업체, 대학교·도서관 등에 ESS를 활용할 경우 총 3000억원(380MW) 규모의 피크절감용 ESS 시장이 창출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특히 ESS 전용요금제는 ESS를 통해 전력수요를 줄이는 등 이에 따른 기본요금을 감소시켜 할인받을 수 있는 요금제다.
가입대상은 계절별·시간대별로 다른 요금을 적용받는 상가, 산업체, 대학교 등 총 16만3000 가구다. 주택용의 경우 요금 체계가 상이해 해당 요금제를 사용할 수 없다.
다만 ESS 투자비가 상당히 비싼 점은 걸림돌이다. 현행 1MW의 ESS 투자비는 배터리 5억원, 출력장치 3억원으로 총 8억원에 달한다.
현재 ESS를 설치한 업체도 약 40곳으로 일부 큰 규모의 사업장에만 국한된 실정이다.
이에 대해 산업부 관계자는 “전용요금제를 통해 ESS투자비용 회수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며 “당초에는 ESS 투자비 회수에 10년이 걸렸지만 이번 할인 특례로 회수기간이 최대 6년까지 단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ESS 산업을 육성하고 있는 해외의 경우에도 전용요금제와 같은 대폭적인 지원정책은 없었다”면서 “정부가 ESS 산업 육성을 위해 다방면으로 속도감 있는 정책을 펼치고 있는 만큼 관련 업계의 투자확대와 기술개발도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