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실험' 미국, 전략자산 배치 검토...B-52·F-22 전투기 등 유력

2016-01-08 11:15
  • 글자크기 설정

핵항공모함·핵잠수함 등도 거론...북한 민감한 반응 보일 듯

장거리 폭격기 B-52 [사진=미 공군 태평양사령부 플리커 ]


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미국 정부가 북한 핵실험에 대한 대응 관련, 한반도에 전략자산을 추가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B-52·F-22 등 폭격기와 핵항모함 등 한반도에 배치할 것으로 보이는 미군 전략자산에 관심이 쏠린다.

피터 쿡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7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과 일본에서 군사장비 지원 관련 요청을 받았냐’는 질문에 "현시점에서 고려할 수 있는 모든 옵션을 검토하고 있다"며 "북한의 행동에 대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존 커비 국무부 대변인도 '한국에 전략자산의 배치를 검토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우리는 항상 준비돼 있다"며 "그러나 진정 원하는 것은 국제적인 공감대를 높여 김정은 정권이 올바른 결정을 내리도록 더 큰 압박을 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력한 전략자산으로는 B-52 장거리 폭격기, F-22 스텔스 전투기 등을 비롯해 핵항공모함, 핵잠수함 등이 거론되고 있다. 모두 강력한 파괴력을 지닌 전략 무기다. 그동안 미국이 북핵 문제와 관련해 이들 전략자산 배치 가능성을 언급할 때마다 북한이 민감한 반응을 보였던 만큼 검토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먼저 장거리 폭격기 B-52는 폭탄을 최대 27t까지 싣고 6400㎞ 이상의 거리를 날아가 폭격한 후 돌아올 수 있다. 길이 50m, 최대 상승고도는 5만5000피트(약 16.8㎞)로 단독 임무 수행도 가능하다. 이라크 전쟁 때 활용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2000파운드(약 907㎏) 재래식 폭탄 35발과 순항미사일 12발을 장착할 수 있다.

B-52는 핵무기의 일종인 ‘벙커버스터’도 탑재할 수 있다. 벙커버스터는 적군의 지하 동굴을 공격하기 위한 유도 폭탄이다. 뚫을 수 있는 콘크리트 두께가 약 60미터에 달해 거의 모든 지하 시설에 대한 공격이 가능하다.

세계 최강 전투기로 불리는 F-22 랩터 전투기는 적의 레이더망을 피하는 뛰어난 스텔스 능력과 정밀타격 능력을 갖췄다. APG-77 AESA 레이더로 최대 250㎞ 떨어진 곳에 있는 직경 1m 물체를 식별해 위치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주로 비밀 침투 임무를 수행하는 B-2 스텔스 폭격기는 비행 속도가 마하 0.9(약 1101.6km/h)에 달한다. 

핵항공모함으로는 일본 요코스카 기지를 모항으로 하는 미 7함대 소속 로널드 레이건호가 유력하다. 최신예 핵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는 '떠다니는 군사기지'로도 불린다. 길이는 333m, 최대 속력은 시속 56㎞다. 항공기 80여 대와 승조원 약 5400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핵잠수함 미시간호도 북한을 위협할 수 있는 전략자산이다. 미 7함대 소속 오하이오급 핵잠수함인 미시간호는 배수량 1만 8000t을 자랑한다. 1600㎞ 떨어진 목표물을 명중할 수 있는 토마호크 미사일 150여기를 탑재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