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상위 100대 기업의 청년 고용성장지수를 보면, 기업 규모가 크고 수익성이 높은 시장에서 성장할수록 청년 고용 창출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고용성장지수는 기업의 청년(15∼29세) 일자리 창출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청년 고용증가 인원과 고용증가율을 곱해서 산출한다. 이번 조사는 6개월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 수 10인 이상 기업 10만 2705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전 업종에서 2013∼2014년(1년), 2011∼2014년(3년), 2009∼2014년(5년) 등 3개 기간으로 나눠 산출했다. 고용의 양만 측정한 것으로 고용의 질은 분석 대상이 아니라는 한계도 나온다.
상위 100대 기업의 평균 업력은 21.1년으로, 업력이 긴 기업에서 상대적으로 청년 고용이 많았다. 평균 매출액 증가율은 59.1%로 기업 평균(16.3%)보다 높았다.
특히 100대 기업은 전체 고용증가 기업의 0.4%에 불과했지만, 청년 고용 증가 인원은 28%를 차지했다. 여전히 소수의 대기업들이 청년들의 일자리 확충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중소규모 53%, 300인 이상 대규모 47%였다. 중소기업에 비해 대기업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점을 감안하면 기업 규모가 클수록 청년 고용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분석기간이 길어질수록 300∼500인 기업에서 고용 인원이 증가해 중장기적으로는 중견기업이 청년 고용 창출에 기여했다.
산업별 분포는 2009년부터 2014년까지 3개 기간 통틀어 제조업 28%, 사업시설관리·지원서비스업 28%, 도·소매업 9%, 숙박·음식점업 8% 등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청년고용증가 측면에서 제조업 부분의 증가 비중은 2013∼2014년(40.5%), 2011∼2014년(44.2%), 2009∼2014년(47.1%)로 여전히 높았다.
이 밖에 도매 및 소매업, 건설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 서비스업, 운수업 등에서 청년 고용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청년 고용 비중이 전통 산업인 제조업에 편중돼 있고, 영세 자영업자가 몰려있는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에 몰려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전 세계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서비스업 등 타 업종으로의 눈을 돌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현재 서비스산업은 고용(70%)과 국내총생산(GDP·60%)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OECD 주요국보다 10%포인트씩 낮은 상황이다. 2013년 기준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은 제조업의 47.3%에 불과하고, 서비스업 투자가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2%로 선진국(80%)의 절반 수준에 그친다.
노동관련 한 민간 전문가는 "정부는 제조업 중점 육성에서 벗어나 다양한 업종의 서비스업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면서 "이를 통해 일자리 창출과 수출 및 내수 활성화를 이끌 원동력으로 키워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