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일학습병행제 '고숙련 마이스터 과정' 이달부터 도입

2015-09-01 15:24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이달부터 독일의 '마이스터'(Meister) 과정을 벤치마킹한 제도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1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일학습병행제 고숙련 마이스터 과정'을 이번 달부터 신설·운영할 방침이다.

일학습병행제는 신규 채용한 근로자가 일을 하면서 직무 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최대 4년까지 지원하는 제도다.

고숙련 마이스터 과정은 한국기술교육대, 한국산업기술대 등 2개 학교와 연계된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SW) 개발, 기계설비 제어, 기계시스템 설계, SW 아키텍트, 디지털디자인 디렉터 등 5개 분야에서 34개 기업, 67명의 마이스터를 양성한다.

고숙련 마이스터가 되려면 2년 동안 이들 학교에서 주말 이론교육을 받고, 기업현장에서는 고숙련 기술과 관련된 현장훈련을 해야 한다.

중간평가를 거쳐 산업인력공단과 산업별협의체의 공동 외부평가를 통과하면 일학습병행제 국가자격이 주어져 고숙련 마이스터가 된다.

독일의 마이스터는 고등학교 단계 도제훈련과 3∼4년 현장경력을 쌓은 후 1∼2년의 마이스터 교육을 거쳐 전공실기·전공이론·교육학·경영학 등 4개 평가시험을 통과하면 주어진다.

독일에서는 마이스터가 아니면 인테리어, 보일러, 자동차정비 등 대부분의 기능 분야에서 사장이 될 수 없다. 월급도 4년제 대졸 엔지니어와 비슷한 4000∼5000유로로 오른다.

박종길 고용부 직업능력정책국장은 "근로자가 평생에 걸쳐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할 수 있는 경로를 마련했다"며 "독일의 마이스터처럼 한국형 도제제도인 일학습병행제의 수준도 한층 더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