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유엔서 '지속적 제재 받는 유일국가'로 전락 불가피

2015-07-19 11:17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이란 핵협상' 타결로 북한이 유엔에서 '지속적 제재를 받는 유일한 국가'라는 불명예를 안게 될 가능성이 커졌다.

유엔의 한 소식통은 18일(현지시간) "이란 핵협상 타결로 이제 북한이 유엔에서 지속적인 제재를 받은 유일한 회원국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버락 오바마 미국 정부가 쿠바에 이어 이란과의 외교적 관계를 정상화함에 따라 미국과 적대적 관계를 유지하는 국가는 사실상 북한이 유일하다"면서 "결국 북한은 이란 핵협상 타결로 미국은 물론 유엔 내에서 지속적으로 제재를 받는 유일한 국가라는 '이중의 부담'을 안게 됐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20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이란 핵협상 타결을 추인하는 새로운 '이란 결의안'을 채택할 예정"이며 "이란 제재위원회는 '적절한 시점'부터 사실상 해체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결국 유엔 내에서 특정국가를 대상으로 상주 전문인력이 활동하는 제재위원회는 북한제재위원회만 남는 셈이다.

다만 현재로서는 북한이 유엔의 지속적인 제재를 받는 유일한 국가로 확정된 것은 아니다. 이란 핵협상 타결로 이란제재위원회가 해체될 가능성이 커졌지만, 20일 유엔 안보리가 채택할 새로운 이란 결의안에는 '스냅백(타결된 협정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과거의 제재를 복원)' 조항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이란에 적용된 스냅백 조항은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때는 65일 내에 제재를 복원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유엔 내에는 특정 국가(회원국)를 상대로 '상주 전문가'가 활동하는 제재위원회가 2곳이 있다. 북한제재위원회와 이란제재위원회다.

이슬람 테러조직 '알카에다'를 대상으로 한 상주 제재위원회가 유엔 내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알카에다는 국가는 아니다.

이란과 마찬가지로 '핵 비확산' 문제로 구성된 북한제재위원회는 유엔 결의에 따라 2006년 유엔에 설치됐다. 이란에 대한 유엔의 제재도 2006년부터 시작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