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이 글은 이 땅의 많은 청년학생들의 심금(心琴)을 울렸다.
대한민국 27년(1945) 12월 23일 오후 2시 서울운동장에서 순국선열 추념대회가 열렸다. ‘임시정부 주석 김구는 순국선열 영령 앞에 아뢰나이다’로 시작된 추념사는 “시조 단군께서 다스림과 가르침으로 문명을 여신 뒤로 유구한 역사가 근 5000 년에 이르는 동안, 흥망의 역사가 어찌 한두 번이리오. 그러나 대개는 같은 민족이 이어받았고, 혹 외세의 침탈이 있었다 할지라도 그 지역에 그쳐, 단군의 후손이 한 갈래로 이어온 계통은 언제나 뚜렷하였으니, 일제에게 당한 강제병합은 그야말로 역사상 보지 못하던 초유의 비극이라"며 시작된다.
그의 추념사는 비분강개하고 폐부를 찌르는 명문으로 널리 알려진 장문의 글이다.
두 분은 같은 해 태어나 같은 해 타계하신 분이시다. 위당은 광복 후 대한민국 초대 감찰위원장의 중임을 맡아 민족의 정기와 좌표를 반듯이 세우고자 친일파들을 처벌코자 하였으나, 이승만정권의 그릇 됨으로 인하여 그 뜻의 실현이 좌절 되자 결연히 사표를 던지고 민족의 ‘혼’ 과 ‘얼’을 바로 세우고자 국학대학을 설립했다.
정인보의 ‘조선의 얼’은 백암(白巖) 박은식(朴殷植,1859-1925)의 ‘국혼(國魂)’과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1880-1936)의 민족적 자아로서의 ‘아(我)’와 맞먹는 개념인 것이다.
조선의 얼은 곧 ‘조선사를 이끌어 온 정신적 주체’로서, 조선 역사의 배후에서 조선사를 발전시켜온 내재적 동인(動因) 또는 동력(動力)을 가리킨다. 이로 말미암아 조선의 역사는 정체됨이 없이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다는 것이 그의 역사관이다.
민족의 얼은 우리민족이 우리 민족이게끔 하는 본질 같은 것이라고 하였다. 민족의 얼은 근본적으로 개개인의 자각된 ‘얼의 모임’인 것이다. 따라서 조선의 얼에는 조선인 각자가 민족에 대한 일체감의 발현과 민족을 위하는 주체적 각성을 갖지 않으면 안 된다는 암시적 가르침이 여기에 들어 있다.
조선의 얼로 판단하면, ‘과거 역사가 현재 속에 살아 있는 역사’라는 것이다. 조선의 역사가 얼에 의해 진실로 드러나고, ‘진실의 역사인 한 그것은 민족의 얼’이라는 것이 위당 정인보의 주장이다.
단재의 민족의 ‘아(我)’나 위당의 ‘얼’은 결코 막연한 것이 아니라 우리 국조이신 환인(桓因), 환웅(桓雄)을 거쳐 단군(檀君)으로부터 내려오는 수두교(소도, 솟대), 선인, 선배, 화랑정신, 낭가사상, 선비사상의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이념을 ‘민족의 아(我)’와 ‘조선의 얼’의 본원이라고 생각했다.
위당 정인보는 ‘홍익인간’으로서의 인본· 인존의 정신을 곧 단군시대로부터 우리 민족 생활의 이상으로 삼았던 정신이라고 보아, 그것을 ‘조선의 얼’의 원초적 구현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세계 그 어느 나라의 역사에서도 널리 사람에게 이롭고 조화로서 세상을 살아가라는 가르침으로 국가를 개국한 나라는 어디에도 없다. 전 세계에서 FTA 를 가장 많이 한 우리로서는 인류문명의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는 멋진 나라가 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