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미국이 지난주 발생한 미국 연방인사관리처(OPM) 해킹 사건의 배후로 중국을 지목하고 나섰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중국이 국가적 차원의 해킹을 확대해나갈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어 미국의 안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 전문가들은 중국 해커들이 미 연방정부의 정보를 빼내기 위해 스파이를 고용하거나 다른 정부 부처의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 등을 시도 중일 수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워싱턴 소재 전략국제연구센터의 짐 루이스는 "중국 정부는 미국 정부의 거대한 인적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면서 "소매상점과 신용카드 회사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료를 빼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가운데 마이클 매콜(공화·텍사스) 미국 하원 국토안보위원장은 OPM 해킹 사건의 배후로 중국을 공식으로 지목했다. 앞서 국토안보부는 해킹 사건의 정황을 밝히면서도 그 배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었다.
매콜 위원장은 전날 미 CBS 방송에 출연해 "지금까지 드러난 모든 위협의 증거들이 중국을 지목하고 있다"면서 "내 판단으로는 중국이 이번 해킹 사건에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해킹은 미국 역사상 가장 심각한 정보유출 사건"이라면서 "이번 해킹은 스파이 활동 목적의 일환으로 이뤄진 것으로, 그런 점으로 볼 때 이번 해킹에는 국가 차원의 지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반면, 일부 전문가는 중국 정부의 해킹 배후설과 관련해 섣부른 판단이라며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로버트 네이크 미 대외관계협의회의 국제관계 선임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연방기관 공무원들의 사회보장 번호에 대해 신경쓸 이유가 없고 해킹된 정보들은 정보가치가 미미하다"면서 "중국이 해킹 배후라고 지목한 관계자들의 말을 믿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엘리자베스 위시닉 컬럼비아대 교수도 CNN과의 인터뷰에서 이번달 말로 예정된 미중 전략 경제회담을 앞두고 이러한 형태의 공격을 저지른다는 것은 다소 이해하기 힘들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앞서 중국 정부는 미 연방정부 해킹의 중국 배후설을 제기한 워싱턴포스트(WP)와 CNN 등 미 언론에 대해 "섣부른 결론을 내는 것은 무책임하고 비생산적"이라며 강하게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