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연방정부 해킹 지목에 "무책임하다" 반발... 미국-중국 사이버안보 전쟁 재점화

2015-06-05 14:36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 미국 연방정부 인사관리처(OPM)를 해킹한것이 중국인 해커라는 미국 언론의 보도에 중국 정부가 강력히 반발하면서 양국 간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남중국해 문제로 대립하고 있는 미-중 간 긴장이 더욱 팽팽해질 것으로 보인다.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5일(이하 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사이버 공격은 대개 익명으로, 국경을 초월해 이뤄지며 근원을 찾기 어렵다"며 "깊이 있는 조사를 하지도 않고 '가능성' 같은 단어를 계속 쓰는 것은 무책임하고 비과학적"이라고 말했다.

주하이콴 주미 중국 대사관 대변인도 성명을 내고 "성급한 결론을 내리는 것은 무책임하고 비생산적인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사이버 공격 같은 국제적 위협은 상호 신뢰와 존중을 기반으로 한 국제사회의 협력을 통해 다뤄야 할 문제"며 "모든 나라가 사이버 안보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적으로 협력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미국 국토안보부는 전날(4일) OPM 전산시스템이 4월 말부터 해킹당해 전·현직 연방 공무원 400만 명의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했다.

상당수 미국 언론들은 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중국 해커들을 배후로 지목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익명의 미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해커들을 유력한 배후로 꼽고 있다”며 “현재 미국 정부가 해킹 주범을 추적 중”이라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익명을 요구한 정부관계자를 인용해 이번 해킹이 중국 해커들의 소행이라고 단정해 보도했다. CNN 역시 미국 당국자들이 이번 해킹의 배후가 중국이며, 인민해방군 소속 해커들이 미국에 대한 광범위한 인물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미·중간 사이버 전쟁에 대한 신경전이 갈수록 심해지며 양국간 정치·경제적 갈등 못지 않은 파장을 낳고 있다. 

미국은 중국이 군 해킹부대 등을 통해 미국 정부 기관과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적인 인터넷 기밀 절취 행위를 해왔다고 비난하면서 지난해 5월 중국 '3PLA(중국 인민해방군 제3총참모부) 산하 61398부대 장교 5명을 해킹 혐의로 기소했다. 당시 3PLA가 지휘하는 61398부대는 '중국정부의 해커부대'로 조명받았다. 이로 인한 양국간 갈등이 고조되며 사이버 대화가 약 1년간 중단되기도 했다.

이번 해킹 사건으로 오는 22일 개최하는 미국과 중국 양국간 전략·경제대화에서도 사이버 안보가 주요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