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건강 '톡']치매 억제 신물질 개발 <영국 랭커스터 대학>

2015-05-20 15:46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주경제DB]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영국 연구팀이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신물질을 개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영국 랭커스터 대학 신경과학교수 데이비드 올솝 박사가 개발한 이 신물질은 치매의 원인으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노인반)를 감소시킨다고 사이언스 데일리는 전했다.

이에 따르면 이 신물질은 뇌 신경세포에 형성된 노인반을 감소시키고 치매와 관련된 뇌의 염증과 산화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시험관 실험에서 확인됐다. 랭커스터 대학은 이 신물질에 대한 특허와 임상시험 승인을 신청했다.

임상시험이 승인되면 MAC 임상연구소가 가벼운 기억력 저하를 보이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노인반은 치매증상이 나타나기 여러 해 전에 형성되기 시작되기 때문에 이 신약을 노인반이 뇌세포에 더 이상 손상을 일으키기 전단계에서 투여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올솝 박사는 설명했다.

올솝 박사는 인간의 뇌에서 노인반을 최초로 분리해 낸 과학자이기도 하다. 노인반은 뇌 신경세포 표면에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들이 응집된 것으로 그 독성으로 인해 신경세포가 파괴되면서 치매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