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 모바일카드 단독 발급이 허용된 가운데 카드사들이 신상품의 연회비 산정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기존 플라스틱 카드에 비해 모집비용이나 발급비용이 들지 않아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책정될 전망이지만 아직 모바일 전용 카드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연회비 책정을 놓고 서로 눈치를 보고 있는 모양새다.
1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현재 신한·우리·BC·하나카드 등이 모바일 단독카드 발급을 위해 금융감독원에 약관승인 심사를 신청한 상태다. 금감원은 이달 중 심사를 마치고 모바일카드 단독 발급을 허용한다는 방침이다.
문제는 실물카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카드의 연회비가 그대로 모바일카드에 적용되지만 모바일 전용 카드의 경우 연회비 산정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기존에 나와있는 카드를 모바일로 발급받는 경우에는 형평성을 고려해 연회비가 다르지 않겠지만 새로 개발할 모바일 전용 카드는 비용 및 수익률 분석을 통해 고민해봐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모바일 전용 카드는 기본적으로 플레이트 제작 비용이나 배달 비용, 모집 비용 등이 들지 않아 연회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산정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기존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카드이기 때문에 연회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는 상황이다.
다른 카드사 관계자는 "업계에서 처음 시도되는 상품이기 때문에 내부적으로도 연회비 산정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며 "기존 플라스틱 카드보다는 저렴하겠지만 어떤 부가서비스가 탑재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하나카드의 경우 연회비를 최대한 저렴하게 책정하고 절감되는 비용을 혜택으로 돌려주겠다는 계획이다. 하나카드 관계자는 "새로 출시될 모바일 단독카드 신상품의 연회비는 5000원 미만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기존 카드보다 연회비는 낮추고 혜택은 더욱 늘려서 모바일카드 활성화를 이끌 계획"이라고 전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 모바일 단독 카드 발급을 위한 상품 및 모바일 관련 약관 등 다양한 법률적 검토를 진행 중"이라며 "연회비는 카드사들이 자율적으로 책정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