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종호 기자 = #서울 마포구 방화동의 한 아파트에 전세로 거주하는 박모(39)씨는 최근 계약 만료를 앞두고 껑충 뛴 전세금에 부담을 느껴 이참에 집을 마련하기로 했다. 그는 서울 외각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여러 곳의 모델하우스를 방문했지만, 엄두조차 나지 않는 높은 분양가에 청약 통장을 제대로 써보지도 못하고 빈손으로 돌아왔다. 결국 그는 집주인에게 전세금 4000만원을 올려주고 다시 세입자로 남는 결정을 내려야만 했다.
끝을 모르고 이어지는 전세난에 1%대 초저금리 대출을 받아 '내 집 마련'에 나서는 수요자들이 크게 늘었지만, 신규 분양을 통해 집을 구매하는 일은 사회 초년생을 비롯, 30대 신혼부부 등에게는 그저 꿈과 같은 이야기다. 고공 상승 중인 전셋값만큼 분양가 역시 이들이 따라 잡을 수 없을 정도로 올랐기 때문이다.
평균 분양가가 2430만6000원으로 가장 높았던 서울 도심권(종로구·중구·마포구 등)과 1693만원으로 뒤를 이은 강서권(강서구·관악구·영등포구 등)은 전년과 비교해 각각 37.3%, 23.7%씩 분양가가 뛰었다.
지난 4월에는 민간택지지구의 분양가 상한제가 사실상 폐지되면서 4월 한 달간 전국 신규 아파트 평균 분양가가 3.3㎡당 955만원으로 전월(945만원)과 비교해 1.1%(10만원) 상승하기도 했다.
분양가 상한제 폐지를 앞두고 한국주택협회가 66개 회원사들에 “과도한 분양가 책정이 현실화될 경우 매매가격 상승을 야기하고 이는 부정적 여론을 형성, 또 다른 가격 규제를 불러올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공문을 보냈지만, 분양가 인상을 막지 못했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팀장은 “최근 분양 시장에 공급물량이 많고 경기권 등은 여전히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는 공공택지가 많다보니 분양가 상승이 어느 정도 제한되고 있다”면서도 “재개발·재건축 아파트 등을 중심으로 분양가 상승 압력이 나타나고 있고, 시장 분위기도 좋다보니 당분간 수도권에서의 분양가 상승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