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장윤정 기자 = “설립 25주년을 맞은 한국정보보호학회를 올해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학회, 참여하는 학회로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올해 한국정보보호학회 회장으로 취임한 박춘식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의 취임사다.
한국정보보호학회는 보안관련 학계를 주축으로 연구소, 정부부처의 전문가들이 정보보호 분야 발전에 공헌하기 위해 지난 1990년 12월에 만들어졌다.
그 후 25년간 국내 주요 대학 정보보호학과 교수들을 중심으로 국내 사이버보안을 지키기 위한 파수꾼 역할을 해왔다. 정보보호쪽 최고의 브레인들이 모인 집단지성인 셈이다.
박춘식 회장은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학회’ 및 ‘참여하는 학회’를 모토로 하겠다"며 "정보보호발전에 적극 기여하는 학회 등을 목표로 제시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다양한 분야 전문가·여성참여 유도
박춘식 회장은 지난 2010년 15대 학회장을 지낸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원장이 최근 청와대 안보특보로 임명되며 학회의 위상이 상당히 높아졌다고 밝혔다.
또 몇 년 간 굵직한 사이버범죄 사건들이 연달아 터지면서 사회적으로 정보보호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각 분야에서 학회를 찾는 발걸음도 잦아졌다.
이에 박 회장은 그간 학회장의 주요 임무였던 올해 학회의 인지도를 높이는 작업도 물론 중요하지만 한국정보보호학회의 한 차원 높은 발전을 위해 정보보호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동참시켜 학회의 외연을 넓히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정보보호가 다른 분야와 융합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하고 지원해야 할 시점”이라며 “법, 정책, 경영, 국제통상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참석시켜 학회가 기술뿐 아니라 다방면으로의 발전이 가능토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사이버범죄는 산업 분야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책, 법, 경영, 국제협력 등 각 요소들이 모두 융합돼야하기 때문이다.
또 학회 내 여성 회원들의 참여도 독려할 방침이다. 그간 학회에 여교수 및 여 회원들의 참여가 저조했다. 이에 조현숙 ETRI 정보보호연구본부장 등을 중심으로 학계, 정부, 기업 등 여성 회원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젊은 교수 및 젊은 석박사급 등 정보보호인들의 참여도 활성화시켜 인재양성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오는 6월 예정된 학회 정기행사에서 카이스트 해킹콘테스트를 개최, 젊은 과학자 양성에도 힘쓸 방침이다.
특히 박 회장은 임종인 청와대 안보특보를 도와 국가 사이버안보 강화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이는 그의 이력과도 닿아있다.
박 회장은 3대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소장을 역임한 경력을 가진 자타가 공인하는 사이버안보 전문가다.
◆ 북한은 반드시 사이버공격 감행해 ‘안보 강화 시급’
박춘식 회장은 "기존 경력을 활용해 국가 사이버보안 역량을 강화하는데 노력하겠다“며 ”사이버사령부, 청와대 안보특위 등의 위원으로 참석, 학회의 의견을 모아 각 분야의 목소리를 전하는데 힘쓰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은 경제적인 이유로 반드시 사이버전쟁을 감행할 것”이라며 “핵, 잠수함 등 엄청난 비용이 드는 전쟁보다 인력만으로 증거를 찾기 어려운 사이버전은 북한에 적합한 공격스타일이다. 사이버전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우리 군에서는 예산, 인력, 무기체계, 교리 등을 사이버전에 대비해 편성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사이버전에 대비한 예산편성 및 전문인력 양성은 기본이며 현재 군의 교리를 사이버전에 적합하도록 사이버 무기체계, 사이버 교리마련 등을 서둘러야한다는 것, 사이버부사관 및 사이버병, 사이버장교 등의 체계적 관리가 시급하다,
기존 총, 대포 등은 한번 사용해도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사이버무기의 경우 적에게 노출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개발도 필수다.
박 회장은 “지난해 한수원 사태에서 목격했듯이 사이버공격으로 인해 기반시설이 붕괴되면 타격을 복구하기 어려울 정도”라며 “국내는 인터넷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사이버전의 피해 또한 더욱 클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이에 그는 사이버전에 대비한 ‘능동적인 방어’를 주문했다.
그는 “사이버안보는 우리 군에서만의 힘으로도 어렵다. 효과적인 민관협력체계가 구축돼 있어야한다”며 “정보보호 교수, 기업 보안전문가 등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동원해 전 방위적으로 막아내야한다”고 말했다. 또 “명령하달식의 기존 군사체계로는 사이버전을 대비할 수 있다. 수평적인 협조가 더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박 회장은 사이버전의 기초가 될 ‘사이버 테러 방지 법적 제도’ 마련도 촉구했다.
그는 “지난 2013년 4월 새누리당 서상기 의원이 하나의 대응 방안으로 사이버테러방지법을 발의했으나, 국정원의 사이버안보 총괄 여부, 그리고 사생활 침해 등의 이유를 들어 논의 자체부터 제대로 되지 않은 채 소모적 논쟁을 지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회장은 “북한 배후 문제논쟁을 떠나 사이버테러방지법의 제정은 조속히 이뤄져야한다”며 “원자력 발전소, 가스시설, 지하철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에 대한 어떠한 형태(나라)의 사이버 공격은 국가 안보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은 절대 포기해서는 안된다. 반대한다고 미뤄서도 안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