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중국의 지방정부들이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대폭 낮게 설정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성장률 둔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또한 중국의 정책목표가 성장률일변도에서 복지나 산업업그레이드, 구조조정 등으로 옮겨가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최대낙폭은 무려 3%P였다. 석탄산업 구조조정중인 산시(山西)성은 목표치를 지난해 9%에서 올해 6%로 3%P 대폭 하향시켰다. 랴오닝(遼寧)성과 간쑤(甘肅)성 역시 3%P 낮춰, 각각 6%와 8%를 목표치로 제시했다.
헤이룽장(黑龍江)성과 구이저우(貴州)성, 칭하이(青海)성, 윈난(雲南)성은 2.5%P를 낮춰 각각 6%, 10%, 8%, 8.5%를 성장률 목표로 제시했다. 신장(新疆)자치구는 9%, 닝샤(寧夏)자치구는 8%, 톈진(天津)시는 9%로 목표를 설정해 전년대비 2%P를 낮춰잡았다. 후난(湖南)성과 쓰촨(四川)성은 1.5%P씩을 낮춘 8.5%와 7.5%를 성장목표치로 제시했다.
또 허베이(河北)성은 7%, 충칭(重慶)시는 10%, 산시(陝西)성은 10%, 안후이(安徽)성은 8.5%, 장시(江西)성은 9%,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는 8%, 장쑤(江蘇)성은 8%, 허난(河南)성은 8%, 후베이(湖北)성은 9%로 제시하며 각각 전년대비 1%P씩 하향조정했다. 이밖에 산둥(山東)성은 8.5%, 베이징(北京)시는 7%, 저장(浙江)성은 7.5%, 푸젠(福建)성은 10%를 내걸어 전년대비 0.5%를 하락시켰다.
구이저우, 티베트, 산시(陝西), 충칭, 푸젠 등 5곳은 여전히 두자릿수 성장률을 목표치로 제시했으며, 목표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상대적으로 낙후지역인 티베트자치구였다. 반면 구조조정 작업이 한창 진행중인 헤이룽장성과 랴오닝성, 산시성은 6%를 목표로 내걸어 눈길을 끈다.
성장률을 하향조정하는 대신 각 지방정부들은 복지확충과 환경개선, 산업 구조조정, 물가, 고용 등을 새로운 정책목표로 제시했다. 베이징시는 대기질과 교통, 주거환경 등의 개선에 주력할 뜻을 공표했다. 성장률 목표를 아예 제시하지 않은 상하이시는 상하이자유무역구 확대와 개혁 심화에 힘을 쏟기로 했다.
국무원발전연구센터의 리쭤쥔(李佐軍) 자원·환경연구소 부소장은 "중국이 국내총생산(GDP)을 영웅시하면서 경제사회 발전목표를 성장률로 제시해 왔으나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며 "경제사회 발전의 신창타이(新常態, 뉴노멀) 아래서 GDP 증가 속도로 발전을 인식하기보다 생태환경과 민생지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의 중앙정부도 오는 3월에 열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를 통해 성장률을 낮출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 전문가들은 대체로 성장률 목표를 7.5% 안팎에서 7.0% 안팎으로 내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목표 제시 자체를 하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