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위험 예측 가능해진다”…국내 연구진, ‘한국인 허혈 뇌지도’ 완성

2014-12-29 13:33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국내 연구진이 공동 연구를 통해 만성적인 뇌의 혈류 순환장애 정도를 등급화한 ‘한국인 허혈 뇌지도’를 완성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국가참조표준센터는 29일 김동억 동국대 일산병원 교수(한국인 뇌MR영상 데이터센터장), 배희준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를 포함한 전국 11개 대학병원 연구진이 한국인 허혈 뇌지도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허혈(혈류가 부족한 상태) 뇌지도는 향후 뇌혈관이 막혀 뇌 조직이나 세포의 일부가 죽는 뇌경색의 발생 위험과 예후를 예측하는 데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허혈 뇌지도는 촬영된 MRI 영상을 통해 개인의 만성 허혈성 뇌손상 정도(크기·위치)가 우리나라 뇌경색환자 기준으로 100명 중 몇 번째에 해당하는지 알려준다.

특히 연령대별로 제공되는 허혈 뇌지도를 참조하면 만성 허혈성 뇌손상 관련 뇌 건강나이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연구진은 지난 2011년부터 10개월간 첫 급성 뇌경색 발병으로 전국 11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2699명 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참조표준 자료를 제작했다.

약 6만장 분량의 뇌 MRI 사진과 환자 개개인의 뇌혈관 위험인자 분석 등을 거쳐 약 5년 만에 허혈 뇌지도를 완성했다.

그동안 MRI 검사 후 만성 허혈 뇌손상이 발견되면 뇌손상 정도를 ‘없다’, ‘조금 있다’, ‘많다’, ‘아주 많다’ 등으로 판독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환자의 병 상태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고 의사들의 맞춤형 진단과 치료에도 한계가 있었다.

채균식 표준연 국가참조표준센터 센터장은 “허혈 뇌지도는 세계 최초이며 특히 한국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작된 만큼 우리나라 환자의 뇌졸중 진료에 특화된 표준”이라며 “국민 복지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자평했다.

김동억 동국대 일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뇌경색은 사망률과 장애율이 매우 높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한국인 허혈 뇌지도 데이터를 참조하면 뇌손상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 병의원에서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인 허혈 뇌지도는 ‘한국인 뇌MR영상 데이터센터’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병의원은 배포되는 진료실 비치용 (60㎝×85㎝) 참조표준 도판을 활용하면 된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표준연,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통해 이뤄졌다.

제1저자 동국대 일산병원 신경과 류위선 교수를 포함, 32명의 저자가 연구에 참여했다. 연구결과는 미국뇌졸중학회 학술지인 스트로크 (Stroke) 12월호에 실렸다.

한국인 허혈 뇌지도.[표준연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