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농수산물 등 분야에서는 우리 농어민의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정부가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국회 비준을 위해서라도 피해 분야 대책은 철저히 챙겨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FTA는 꼭 필요…"국익 증대"
한국은 세계 1위 경제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을 파트너로 맞이했다는 점에서 중장기적으로 국익이 증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83%를 교역에 의지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FTA 체결이 꼭 필요한 것이었다"며 "한중FTA로 전체 GDP의 2∼3%가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업종별로는 전기·전자·기계·화학 등 분야의 이득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최원목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한중FTA 타결은 그 자체로 우리의 장기적인 국익 관점에서 긍정적"이라며 "중국과 경제적인 결속을 강화하면서 불안한 동북아 정세의 정치적 안정성을 높여주는 효과도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해영 한신대 국제관계학부 교수는 "서비스 산업은 우리가 기대하는 바가 크다"며 "의료, 법률, 교육, 문화산업 등에서는 우리 기업이 중국에 진출한다면 성공할 가능성이 확실히 커졌다"고 긍정적 의견을 내놨다.
◇문제 되는 품목 제외…낮은 수준 타결 "아쉬워"
한중FTA 협상이 정치적인 분위기에 휩쓸려 급하게 타결된 탓에 타결 과정과 품목에 대해서는 아쉽다는 의견도 나온다.
정인교 인하대 경제학부 교수는 "며칠 전까지 협정문에 들어갈 22개 장 가운데 16개 장에 대해서는 타결 또는 의견 접근을 봤지만 나머지 6개 장에 대해선 이견이 좁혀지지 않았었다"며 "원래 협상은 끝으로 갈수록 어려운 법인데 마무리를 너무 쉽게 하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이런 식으로 협상을 마무리하면 한중FTA로 피해가 예상되는 농민 등 이해관계자의 동의를 얻고 국회 비준을 받는 과정이 힘들 수 있다"며 "실제로 협상 내용은 베일에 가려졌고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구하는 과정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최원목 교수는 "협상 면에서 보면 '좀 더 잘할 수 있었는데' 하는 아쉬움도 남는다"며 "농수산물·공산품 간 민감품목 범위 설정을 놓고 한중간 이견을 보이다 결국 문제가 되는 품목은 제외돼 낮은 수준으로 협상이 타결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높은 수준으로 협상이 타결됐을 경우 물론 피해도 있겠지만 몇 배 이득을 더 볼 기회도 있었는데 이를 살리지 못한 측면이 있고 이밖에 무역구제, 지적재산권 등 분야에서도 우리가 요구한 높은 수준의 규제 철폐·완화가 이뤄지지 못한 부분은 아쉽다"고 덧붙였다.
◇양질의 '차이나 머니' 얼마나 유입?
이해영 한신대 국제관계학부 교수는 "최근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중국 자본의 흐름을 살펴보면 제조업, 서비스업 등에 투자되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부동산, 주식, 채권 등 금융시장으로 흘러가고 있다"며 "투자 부문에서 우리가 기대하는 양질의 '차이나 머니'가 얼마나 유입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한중FTA 타결로 이런 흐름이 바뀔 것 같지는 않으며 금융시장에만 몰리는 차이나 머니는 우리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또한 이 교수는 "중국에서 만든 국산 제품을 다시 국내로 들여올 때에는 관세가 낮아져 분명히 이득이 되지만 우리 기업 가운데 1만여곳이 이미 중국에 진출해 생산과 판매를 하는 상황에서 이들에게는 관세인하로 인한 혜택이 크게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농어민 피해 줄이기 위한 정부 대책 필요
김대종 교수는 "농수산물 분야의 피해가 워낙 클 것으로 예상돼 농어민의 반발이 극심할 것"이라며 "미국·칠레와 FTA를 맺었을 때처럼 정부가 FTA로 이득을 보는 부문에서 재원을 마련해 농어민에게 직접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농가부채를 탕감해주는 등 보상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농산물은 경제적인 차원에서뿐 아니라 식량안보 차원에서도 꼭 자급자족이 필요한 품목인 만큼 미국 등 여러 나라처럼 농민에 대한 지원은 꼭 챙겨야 한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정인교 교수도 "한중FTA로 피해가 예상되는 농민 등 이해관계자의 동의를 얻고 국회 비준을 받는 과정이 힘들 수 있다"며 "개방도가 이 정도로 낮은 수준의 FTA라면 정부가 지금까지 해온 것보다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가 더 많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